Search This Blog

Saturday, January 28, 2012

일본에 남아 있는 이스라엘 풍속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백제와 가야 사람들은 본래 하나님을 믿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일본 왕실과 풍습에서는
하나님을 믿던 요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북이스라엘과 남유다가 앗시라아와 바빌론에게서 멸망할 때 포로로 잡혀 갔다가 흩어졌던 이스라엘의 유민도
해상 또는 육로로 일본으로 유입되 이스라엘의 풍속이 일본에 남아 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일본에 있는 기독교인이 이에 관해 연구한 글을 번역하였습니다.
 
a) 일본의 한 축제에서 발견되는 이삭의 이야기
일본 나가노현, "스와-타이샤" 라는 큰 신도(神道)의 사원이 있다. (신도는 일본 고유의 전통적 종교이다.) 스와-타이샤에서는 매년 4 월 15 일 온토사이 축제가열린다. (음력을 사용하던 당시에는 양력 3 - 4 월 경.) 축제는 성경의 창세기 22 장에 나오는 이삭의 이야기를 묘사한다 - 아브라함이 이삭을 희생제로 드리려고 하는 장면.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온토사이 축제는 스와-타이샤의 가장 중요한 축제이다.
 
The "Suwa-Taisha" shrine 스와-타이샤 신사

스와-타이샤 뒤편에는 모리야산(- 山)이 있다. 스와 지방 사람들은 모리야산의 신을 숭배하기 위해 모리야의 사원을 건축함. 축제에서 한 소년이 대나무 자리 위에서 나무로 된 기둥에 묶여진다. 신도의 사제는 칼을 준비하여 소년에게 다가와 나무 기둥의 윗부분을 친다. 그 때 전령(다른 사제)이 와서 소년이 풀려난다.
 
온토사이 축제에서 사용되는 단검과 칼

축제에서는 동물 희생이 바쳐진다. 75 마리의 사슴. 이들 중에는 귀가 갈라진 사슴이 있다고 믿어진다. 이 사슴은 신이 직접 준비한 사슴으로 여겨진다. 이삭이 풀려난 후에 대신 희생제물이 된 수양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임. 이삭을 대신한 수양은 수풀에 걸려서 잡혔으므로 귀가 찢겨 있었던 것이 아닐까. 옛날 일본에는 양이 없었으므로 사슴으로 대체되었던 것이 아닐까. 심지어 옛날에도 사람들은 이 사슴희생제를 기이히 여겼다. 왜냐하면 동물 희생제는 일본의 전통적 신도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필자의 친구가 이스라엘을 방문하여 사마리아의 게리짐산(山)에서 열리는 유월절 행사를 참관하였다. 그가 사마리아인 사제에게 몇 마리의 양이 제물로 바쳐지냐고 물었다. 과거에는 75 마리의 양이 바쳐진다는 대답을 들었다.
 
귀가 찢어진 사슴

사람들은 이 축제를 "미사쿠치-신(Misakuchi-god)"의 축제로 부른다. "미사쿠치(Misakuchi)"는 "mi-isaku-chi." 가 변형. "미(Mi)" 는 "크다는(great)" 것을 뜻한다. "이사쿠(isaku)"는 이삭(Isaac, Yitzhak-히)을 뜻할 가능성이 크다. 치(chi)는 전치사 같은 것이다. 스와의 사람들은 우상숭배자들의 영향으로 이삭을 신격화 했던 것으로 보이다. 소년이 제물로 희생되려는 순간 풀려나는 이 풍습은 오늘날 거행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볼 수 있는 나무기둥은 "오니예-바시라(oniye-basira)"로 일컬어진다. 이는 희생-기둥이라는 뜻이다.
 
소년이 묶여지게 될 '오니예-바시라'

오늘날에는 산 동물을 희생시키는 대신 박제된 동물을 사용한다. 이 동물 희생제와 소년을 나무에 묶는 풍습은 약 100 년 전 메이지(明治)시대의 사람들에게 야만적으로 여겨져서 현재 중단되었다. 그러나 축제는 아직도 거행된다. 소년의 풍습은 명치시대 초기까지 남아있었다. 에도시대의 학자이자 기행문 저술가인 마스미 스개(Masumi Sugae)는 그의 기행문에서 스와에서 그가 본 것들에 대해 기록하였다. 이 기록은 당시의 "온토사이" 축제와 희생될 운명의 소년과 그를 놓아줌 그리고 동물희생제에 대해서 자세히 전하고 있다. 그의 기록들은 스와-타이샤 근방의 한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온토사이 축제는 고대 이래로 계속 모리야(Moriya) 가문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모리야 가문은 "모리야노 카미(모리야의 신)"을 그들 조상의 신으로 생각한다. 또한 그들은 모리야산(山)을 그들의 성소로 여긴다. 모리야 라는 이름은 "모리아(Moriah, Moriyyah-히; 창22:2)"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다. 모리아 산은 오늘날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산(Temple Mount)이다. 유대인들에게 모리아의 신(God of Moriah)은 곧 성경이 가르치는 참된 유일신을 의미한다.
모리야 가문은 이 축제를 78 세대 동안 주최하여왔다.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필자에게 모리야의 신에 대한 사람들의 신앙은 기원전으로 거슬러올라간다고 말해주었다.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야기를 묘사하는 축제는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 전통은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일본으로 왔다는 강력한 증거로 볼 수 있다.
 
예루살렘의 헤롯의 문 위에 있는 문양
일본 왕실의 문장

일본 왕실의 문장은 16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모양의 둥근 표식이다. 현재는 국화처럼 보이지만, 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고대에는 해바라기에 가까왔다고 한다. 일본왕실의 이 문장은 매우 오래되었다. 헤롯의 문에 있는 것과 동일한 표식이 제 2 성전(聖殿)시대 예루살렘의 유물에서 발견되며 기원전의 아수르의 유물에서도 또한 발견된다.

b) 이스라엘과 비슷한 모자와 나팔
 
토킨(tokin)을 쓰고 나팔을 부는
야마부시(yamabushi)
성구함(phylactery)을 쓰고 소파(shofar)를
부는 유대인

야마부시는 수행중인 종교인을 뜻한다. 오늘날 그들은 일본 불교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중국과 한국의 불교에는 이러한 관습이 없다. 야마부시의 관습은 7 세기 경 불교가 일본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야마부시는 이마에 토킨이라고 하는 조그만 검은 상자를 검은 끈으로 묶어서 쓴다. 이 모습은 유대인이 역시 검은색 상자인 성구함을 쓴 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토킨의 크기도 유대인들의 성구함과 거의 같지만 모양이 둥글며 꽃모양을 하고 있다.
유대인들의 성구함은 대제사장 아론이 끈으로 "패"를 이마에 매었던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출28:36-38) 민속학에 의하면 그것의 크기는 4 센티미터이고 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꽃모양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는 야마부시가 쓰는 토킨과 거의 같은 모양이 될 것이다.
이스라엘과 일본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종교적인 목적으로 검은 상자를 이마에 쓰는 관습이 있는 나라이다. 이 밖에도 야마부시는 큰 바다조개를 나팔로 사용한다. 이는 양뿔로 만든 쇼파나팔(shofar)을 부는 유대인의 모습과도 매우 흡사하다. 야마부시의 나팔 부는 방식과 소리는 쇼파의 그것과 매우 흡사하다. 일본에는 양이 없었기 때문에 양뿔 대신 바다조개를 썼는지도 모를 일이다.
야마부시는 산을 종교적 수행을 쌓는 성스러운 장소로 여긴다. 이스라엘인들고 역시 산을 신성히 여겼다. 십계명의 율법이 주어진 곳은 시나이산이었다. 예루살렘은 산 위에 위치한 도시이다. 예수님은 기도를 하러 산으로 올라가고는 하셨다. 변화사건(transfiguration)도 역시 산에서 일어났다.
일본에는 텡구(天狗)의 전설이 있는데, 그는 야마부시의 모습을 하고 산에서 살며 크고 두드러진 코와 초자연적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어졌었다. 옛날의 닌자는 주인을 위해 봉사하는 동안 텡구의 초능력을 얻으러 산으로 들어가고는 했다. 그러면 텡구는 닌자에게 초자연적인 능력을 전수한 후에 토라-노-마끼(tora-no-maki, 토라 두루마리)를 주었다. 이 토라의 두루마리는 위기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책으로 여겨졌다. 일본에서는 아직도 이 '토라'라는 용어가 쓰인다. 유대인들의 토라(Torah) 두루마리가 일본의 유적에서 발견된 적은 없다. 그러나 일본의 토라 두루마리는 유대인들의 토라에서 유래하는 것일 수도 있다.

c) 일본에서 발견되는 이스라엘 언약궤와 복식
역대상 15 장에서는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언약궤를 메고 들어가는 장면이 묘사된다.
"이에 다윗과 이스라엘 장로들과 천부장들이 가서 여호와의 언약궤를 즐거이 메고 오벧에돔의 집에서 올라왔는데 하나님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멘 레위 사람을 도우셨으므로 무리가 수송아지 일곱과 수양 일곱으로 제사를 드렸더라. 다윗과 궤를 멘 레위 사람과 노래하는 자와 그 두목 그나냐와 모든 노래하는 자도 다 세마포 겉옷을 입었으며 다윗은 또 베 에봇을 입었고 이스라엘 무리는 크게 부르며 각과 나팔을 불며 제금을 치며 비파와 수금을 힘있게 타며 여호와의 언약궤를 메어 올렸더라." (역대상 15:25-28)
 
이스라엘의 언약궤
일본의 "오미코시(Omikoshi)" 궤

필자는 이 구절을 읽을 때, "이것은 일본인들이 축제에서 '오미코시'를 메고 가는 모습과 어쩌면 이렇게도 흡사하단 말인가? 일본 '오미코시'의 모양은 언약궤와 비슷해 보인다. 일본사람들도 그 앞에서악기의 소리에 맞추어 춤추고 소리친다. 고대 이스라엘의 풍습과 매우 유사하다." 라고 생각한다.
일본인들은 보통 두 개의 막개기를 사용하여 어깨로 운반한다.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
"모세가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 명한대로 레위 자손이 채로 하나님의 궤를 꿰어 어깨에 메니라." (역대상15:15)
이스라엘의 언약궤는 두 개의 막대기로 꿰게 되어 있었다. (출25:10-15) 언약궤를 재현한 일부 모델들은 궤의 윗부분에 막대기를 꿰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성경은 막대기가 궤의 "네 발"에 붙어있는 네 개의 고리에 꿰어지도록 되어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출25:12) 고로 막대기는 궤의 바닥부분에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일본의 "오미코시"와 비슷하다.
이스라엘의 언약궤는 윗부분에 금으로 된 두 개의 그룹(cherubim)의 상이 있었다. 그룹은 새와 같은 날개를 갖고 있는 천사들이다. 일본의 "오미코시"도 역시 꼭대기에 "호-오(Ho-oh)" 라는 금으로 된 새가 있다. 호-오는 상상의 새로서 천상의 존재로 생각되었다. 이스라엘의 언약궤는 전체가 금으로 덮였었다. 일본의 "오미코시"는 부분적으로, 때때로는 전체가 금으로 덮인다. "오미코시"의 크기도 이스라엘의 언약궤와 거의 동일하다. 일본의 "오미코시"는 고대 이스라엘의 흔적이 아닐까 싶다.
이스라엘의 다윗왕과 백성은 언약궤 앞에서 악기의 소리에 맞춰 노래하고 춤을 추었다. 일본인들도 역시 악기에 맞춰 오미코시 앞에서 노래하며 춤을 춘다. 몇 년 전, 필자는 "다윗 왕(King David)"이라는 미국영화를 본 적이 있다. 이는 다윗 왕의 일생에 관한 영화였다. 영화에서 다윗왕이 언약궤가 예루살렘으로 들어갈 때 언약궤 앞에서 춤을 추는 장면을 보면서, "예루살렘 배경을 일본으로 바꾸면 이 장면은 일본의 축제에서 볼 수 있는 장면과 똑같을텐데." 하는 생각을 하였다. 음악의 분위기도 역시 일본음악과 비슷하였다. 다윗왕의 춤도 일본의 전통춤과 비슷해 보였다.
쿄토에서 개최되는 신사(神祠) 축제인 "기온-진자(Gion-jinja)"에서는 사람들이 "오미코시"를 메고 강으로 들어가서 강을 건넌다. 필자는 이것이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애굽에서 나온 후 언약궤를 메고 요단강을 건넌 것을 기념한데서 유래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일본에는 내륙에 위치한 세토해(Sea of Seto)라는 바다에 섬이 있다. 이곳에서는 "오미코시"를 나르도록 선발된 사람들이 한 집에서 행사일 전에 일 주일 동안 합숙을 한다. 이는 부정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오미코시"를 나르기 전날에는 바닷물에서 목욕재개를 하여 자신들을 정화시킨다. 이것도 역시 고대 이스라엘의 관습과 유사하다:
"이에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궤를 메고 올라가려 하여 몸을 성결케하고" (대상15:14)
성경은 언약궤가 예루살렘에 들어가고 나서 행진이 끝났다고 말한다, "또 이스라엘 무리의 무론 남녀하고 매 명에 떡 한 덩이와 고기 한 조각과 건포도병 하나씩 나누어 주었더라." (대상16:3) 이것 또한 축제가 끝난 후에 단 과자를 모두에게 주는 일본의 풍습과 비슷하다. 어린시절의 필자에게 이것은 큰 기쁨이었다.

성경을 보면 다윗이 언약궤를 갖고 예루살렘에 들어갔을 때 세마포 겉옷을 입었다고 한다. (대상15:27) 제사장과 노래하는 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어 성경에는 이 부분이 "흰 세마포 예복(robe of white linen)"으로 되어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대제사장은 색상이 화려한 옷을 입었지만 일반 제사장은 단순한 흰색 리넨옷을 입었다. 제사장들은 성스러운 행사에서 흰 옷을 입었다. 일본의 사제들도 성스러운 행사에서는 흰 예복을 입는다.
옷술(fringes)이 달린 흰 예복을 입은 일본의 신도 사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신사(神祠) 중 하나인 이세-징구(Ise-jingu)에서는 승려들 전원이 흰 예복을 입는다. 또한 많은 신사들의 경우, 특히 전통이 깊은 신사에서는 오미코시를 운반할 때 이스라엘에서 그랬던 것처럼 흰 옷을 입는다. 불교 승려들은 고급스러운 색깔있는 옷을 입지만 일본의 신도에서는 흰 색을 가장 성스러운 색으로 여긴다.
일왕은 대관식을 마친 직후 신도의 신(神) 앞에 홀로 선다. 그는 흰 예복으로 온 몸을 덮는데 발만은 예외로 맨발이다. 이는 샌달을 벗고 맨발로 하나님 앞에 서는 모세와 여호수아의 행동을 연상시킨다. (출3:5, 수5:15) 일본에서 10 년 동안 거주했던 랍비, 마빈 토케이어(Marvin Tokayer)는 그의 책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일본의 신도 승려들이 입는  리넨 예복은(linen robes) 고대 이스라엘 제사장들의 흰 리넨 예복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일본 신도 승려의 예복은 모퉁이에 매달린 20-30 센티미터 정도의 끈들이 달려있다. 이 장식술은 고대 이스라엘의 예복에 달린 끈과 흡사하다. "입는 겉옷 네 귀에 술을 만들지니라 - Thou shalt make thee fringes upon the four quarters of thy vesture, wherewith thou coverest thyself." (신22:12) 이 술은 그 옷을 입는 자가 이스라엘인이라는 상징이었다. 신약성경에서도 바리새인들이 옷술을 크게 한다는 술에 대한 기록이 있다. (마23:5)
혈루증을 앓던 한 여자가 예수님께로 와서 그의 겉옷의 옷술을 만지는 장면도 기록되어 있다. (마 9:20; Charles B. Williams 譯, The New Testament: A Translation in the Language of the People)* 상상에 의존하여 고대 이스라엘 시대를 그린 삽화에서는 종종 옷에 술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예복에는 실제로 술이 붙어있었다.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 걸치는 탈릿(Tallt, 기도용 숄)에는 전통에 따라 모퉁이에 술이 붙어있다.

==== 역주:
* 개역한글 마태복음 9:20 에서 겉옷 "가" 로 번역된 희랍어 단어는 옷술을 의미하는 "kraspedon" 으로 마태복음 23:5 및 14:36, 막6:56, 눅8:44 에서도 이 단어가 사용된다. 사람들이 병을 고치고자 예수님의 옷술을 특별히 만지려고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

일본의 신도 승려들은 어깨에서 허벅다리까지 내려오는 직사각형의 천을 예복 위에 걸친다. 이는 다윗이 입었던 에봇과 같다: "...다윗은 또 베 에봇을 입었고" (대상15:27) 대제사장의 에봇은 보석이 달리고 색상이 있는 화려한 것이었으나 일반 제사장의 에봇은 단순한 흰색 아마천이었다. (삼상22:18) 랍비 토케이어는, 일본 신도 승려의 예복 위의 직사각형 천은 유대 제사장, 코헨(Kohen)의 에봇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고 기술하였다. 일본 신도 승려는 이스라엘의 제사장이 그랬던 것처럼 머리에 관(cap; bonnet - KJV)을 쓰고 허리에 띠를 두른다. (출28:40) 일본 신도 승려들의 복장은 고대 이스라엘의 복장과 비슷하게 보인다.

d) 이스라엘 성막과 비슷한 일본의 신토
고대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성막의 내부는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성소이고 다른 하나는 지성소이다. 일본의 신사도 역시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일본 신사의 기능은 이스라엘의 성막과 유사하다. 일본인들은 성소 앞에서 기도를 하며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신도의 사제 및 특별한 사람들만이 들어갈 수 있다. 신사의 지성소에는 신도의 사제가 특별한 시기에만 들어갈 수 있게 되어있다. 이것도 이스라엘의 성막과 유사한 점이다.
일본의 지성소는 대개 신사의 서쪽이나 북쪽 끝 부분의 자리에 위치한다. 이스라엘의 지성소는 성전의 서쪽 끝 부분에 있었다. 또한 신사의 지성소는 성소보다 높은 위치에 있하며 그 사이에는 계단이 있다. 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솔로몬의 성전의 지성소는 성소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으며 성소와 지성소 사이에는 폭이 약 2.7 미터 되는 계단이 있었다고 한다.
 
일본의 전형적인 신토 사원

일본 신사의 앞에는 "코마이누(komainu)"로 알려진 두개의 조각상이 출입로 양쪽에 있다. 이것은 섬기는 우상이 아니라 신사를 지키는 수호자이다. 이것 또한 고대 이스라엘의 풍습과 같다. 이스라엘의 성전과 솔로몬의 궁전에는 사자의 조각상이 있었다. (왕상7:36; 10:19) 일본에는 사자가 한 마리도 없었다. 하지만 사자의 상은 고대 이래로 일본의 신사에 있었다. 일본 신사의 사자 조각상은 중동지역에서 기원한다는 학자들의 설이 있다.
 
사원을 수호하는 코마이누(Komainu)

신사의 입구쪽에는 "테미즈야(temizuya)"가 있다. 참배자들이 손과 입을 씻기 위한 장소이다. 옛날에는 이곳에서 발까지 씻었다. 이러한 풍습도 유대의 회당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 고대의 성막과 이스라엘의 성전에도 입구 근처에 손과 발을 씻는 물두멍이 있었다.

신사의 앞쪽에는 "토리(torii)"라는 문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문은 중국과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고 일본에만 있다. "토리" 문은 두 개의 수직으로 선 기둥과 윗부분에 연결된 빗장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토리의  원형은 두 수직기둥과 윗부분에 걸쳐지는 밧줄로 구성되어있었다. 신도의 사제가 문앞에서 허리를 숙여 예를 할 때 그는 각각의 기둥에 한 번씩 두 번 예를 표한다. "토리" 문은 원래 두 개의 기둥으로만 만들어졌었다.
 

이스라엘의 성전에는 문으로 사용되었던 두 기둥이 있었다. (왕상7:21)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사용하였던 아람어로 문을 뜻하는 말은 "타라(taraa)" 이다. 이 단어가 약간 변형되어 일본어의 "토리(torii)"가 된 것이 아닐까 싶다. 특히 오래된 신사에서는 토리가 붉은 색으로 칠해져 있다. 필자는 이를 생각할 때마다 문의 두 기둥과 상인방에 출애굽의 전날 밤 양의 피가 칠해진 장면이 떠오르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일본의 신도에는 "시메나와(shimenawa)"로 불리우는 밧줄이 그 밑부분에 흰 종이조각들이 달린 채로 성소를 둘러치고 있다. 시메나와 줄은 경계선으로서 세워진다. 성경에 기록되기를, 모세가 시나이산에서 십계명을 받을 때 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지경을 정하였다." (출19:12) 이 "지경"의 재료가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밧줄이 사용되었을런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일본의 시메나와 줄은 모세의 시대로부터 유래하는 풍습일 수도 있다. 줄을 따라 끼워진 흰 종이의 지그재그 패턴은 필자에게 시나이산의 천둥번개를 상기시킨다.
 
일본의 신사와 고대 이스라엘 성전간에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일본 신사에서는 동물의 번제를 드리는 제단이 없다는 것이다. 필자는 신도가 고대 이스라엘에서 유래한다면 왜 신도에는 동물 희생의 관습이 없을까 의문을 가졌었다. 하지만 곧 필자는 신명기 12 장에서 해답을 발견하였다. 모세는 백성에게 가나안 땅의 특정 장소를 제외한 다른 장소에서 희생제를 드리지 말 것을 명한다. (신12:10-14)  따라서 이스라엘인들이 고대 일본으로 왔다면 동물 희생제를 드리도록 허락되지 않았을 것이다.

신사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쿄토의 마츠오 대신사 (Matsuo-taisya) 에서와 같이 문이 동쪽에 그리고 지성소가 서쪽에 위치하도록 지어진다. 그 밖의 경우에는 문과 지성소가 각각 남, 북쪽에 위치하도록 지어진다. 고대 이스라엘의 장막은 문이 동쪽에, 그리고 지성소가 서쪽에 가도록 세워졌는데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동쪽으로부터 온다는 믿음때문이었다.
신사는 예외 없이 나무로 건축된다. 이스라엘 성전의 상당 부분이 나무로 지어졌다. 이스라엘인들은 성전의 일부에 돌을 사용하였으나, 벽, 마루, 천장 및 모든 내부에는 레바논산 백향목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왕상6:9, 15-18; 5:6) 또한 이스라엘의 성전의 나무는 금으로 덮혀있었다. (왕상6:20-30) 일본에서는 본성전의 중요한 부분은 이세징구(Isejingu) 신사와 같이 금으로 덮혀있다.

일본인들이 신사의 성소 앞에서 기도를 할 때는 우선 입구의 중앙에 걸려 있는 금종(金鐘)을 친다. 이와 비슷한 것을 고대 이스라엘의 풍습에서 볼 수 있다. 대제사장 아론은 옷단에 금으로 된 종을 달았다. 이는 그가 제사장의 직분을 수행하다 죽지 않게끔 종 소리가 들리도록 한 것이다.
 
신토 사원 입구에 있는 금종

일본인들은 신사에서 기도할 때 두 번 손뼉을 친다. 이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나는 약속을 지킨다." 라는 의미였다. 성경에서 "pledge (맹세, 서원)" 으로 번역된 단어를 볼 수 있다. 이 히브리어 단어는 원래 "손뼉 치는 것" 을 의미한다. (겔17:18, 잠6:1)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서약을 하거나 중요한 일을 할 때 손뼉을 쳤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들은 손뼉을 치고 기도하기 전과 후에 신사 앞에서 절을 한다. 또한 사람을 만날 때 정중한 인사로써 절을 한다. 절을 하는 것 또한 고대 이스라엘의 풍습이었다. 야곱은 에서에게 다가가면서 절을 하였다. (창33:3) 오늘날의 유대인들은 일상에서 절을 하지 않으나 기도문을 암송하면서 절을 한다. 이디오피아인들은 현재에도 절을 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아마 고대에 이디오피아로 이주한 유대인들의 풍습이 전해져 내려오는 것일 수도 있다. 이디오피아에서 절하는 법은 일본에서와 비슷하다.
 
불교 사원에는 부처 및 그 밖의 신들의 형상으로 조각된 우상이 있다. 하지만 일본의 신사에는 우상이 없다. 신사의 지성소의 중앙에는 거울, 칼 또는 펜던트(pendant) 장식이 있을 뿐이다. 신도의 신자들은 이것들을 신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신도에서는 신은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거울과 칼과 펜던트는 우상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신이 강림하는 성스러운 장소임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고대 이스라엘의 언약궤 안에는 십계명의 석판, 마나 항아리와 아론의 지팡이가 있었지만 이것들은 우상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신이 강림하는 성스러운 장소임을 나타내기 위한 물건들이었다. 신사에 있는 물건들도 이러한 관점에서 생각될 수 있다.

e) 일본에 남아 있는 이스라엘 풍속
유대인들은 오순절(Shavuot)의 7주 전에 그들이 수확한 첫 곡식의 다발을 흔든다. (레23:10-11). 그들은 또한 장막절(Sukkot)에 식물(植物)의 가지를 묶은 단을 흔든다. (레23:40) 이는 모세의 시대 이래 지켜진 전통이다. 고대 이스라엘의 제사장은 사람들을 정화시킬 때 식물의 가지를 흔들었다. 시편에서 다윗은, "우슬초로 나를 정결케 하소서 내가 정하리이다" 라고 말한다. [시51:7(9)]. 이 또한 일본의 풍습과 같다.
 
신토 사제가 정화를 위해 나뭇가지를 흔듦

일본의 승려가 사람이나 물건을 정화시킬 때에는 나뭇가지를 흔든다. 막대기나 흰 종이로 식물처럼 보이게 만든 하라이누사(harainusa) 라는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오늘날의 하라이누사는 번개의 표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 흰 종이로 단순하게 변형되었지만 옛날에는 식물의 가지나 곡물이 사용되었다. 필자가 아는 기독교인인 일본인 여성은 이 하라이누사를 단지 이교적인 풍습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후에 그녀가 미국에 가서 장막절 행사에 참여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녀는 유대인들이 추수한 곡식의 단을 흔드는 것을 보았을 때 마음속으로, "어머나 이것은 일본의 사제가 하는 것과 똑같은데! 여기에 일본인들의 고향이 있다." 라고 외쳤다.
 
소금을 뿌리는 일본의 스모 선수

일본인들은 어떤 것을 정화(淨化)하기 위해 소금을 사용해왔다. 사람들은 불쾌한 사람이 떠난 후에 소금을 뿌린다. 필자가 티비에서 사무라이극을 보았는데, 거기서 어떤 여자가 그녀가 싫어하는 남자가 떠난 자리에 소금을 뿌리는 장면이 나왔다. 이 풍습은 고대 이스라엘인들의 풍습과 같다. 아비멜렉은 성을 점령한 후에 "소금을 뿌렸다." (삿9:45) 일본인들은 이것이 성을 정화하는 행위임을 금방 알아차린다.
필자는 유대인들이 이사를 하게 되면 그곳을 정화하기 위해서 소금을 뿌린다고 들은 적이 있다. 이는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식 음식점에서는 입구 부근에 소금을 쳐놓는다. 코셔 미트(Kosher meat - 유대인들의 율법에 합당하게 처리된 고기 - 역주)에는 소금이 사용된다. 코셔 미트는 소금에 의해 정화되고 모든 식사는 빵과 소금으로 시작된다.
일본인들은 장례식장의 입구에 소금을 뿌린다. 장례식에서 돌아오면 집으로 들어가기 전에 일단 몸에 소금을 뿌린다.
신도에서는 장례식에 가거나 시체를 만지게 되면 부정하게 된다고 믿는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도 이와 동일한 개념이 있었다.
일본의 스모선수들은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씨름판에 소금을 뿌린다. 유럽인이나 미국인들은 이를 의아하게 생각하지만 랍비 토케이어는, 유대인들은 이 의미를 금방 이해한다고 기술하였다. 일본인들의 종교적인 봉헌에는 할 때 항상 소금이 함께한다. 이는 이스라엘인의 풍습과도 같은 것이다: "...네 모든 예물에 소금을 드릴찌니라." (레2:13)
예전의 일본인들은 아기를 낳아서 처음으로 씻길 때는 물에 소금을 넣었다. 고대 이스라엘인은 아기를 낳으면 소금으로 가볍게 문지른 후 물로 씻겼다. (겔16:4) 소금 및/또는 물에 의한 정화는 일본인들과 고대 이스라엘에게는 보편적인 풍습이다.
히브리어 성경에는 "부정(不淨)"하다든지 "정결"하다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유럽인들이나 미국인들은 이 개념에 익숙하지 않지만 일본인들은 이를 잘 이해한다. 정결함에 가치를 두는 것과 부정함을 피하는 것은 신도의 중심적 개념이다. 이 개념은 고대 이스라엘에서 유래하는 것일 수도 있다.

f) 일본에 남아 있는 이스라엘 언어
일본의 신사에서 수 년간 거주했던 유대인인 요셉 아이델버그는 "일본인들 그리고 이스라엘의 사라진 열 지파들" 이라는 책을 저술하였다. 그는 많은 일본 고대어의 단어들이 고대 히브리어에서 유래한다고 썼다. 일례로, 일본인들은 망신이나 수치스러운 것을 표현할 때 "하즈카시메(hazukashime)" 라고 말한다. 히브리에서는 이를 "하닥 하솀(hadak hashem; 이름을 짓밟는다는 뜻; 욥40:12 참조)"이라고 표현한다. 단어의 의미와 발음이 거의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인칭 "당신"은 일본어와 히브리어에서 동일하게 "안타(anta)" 이다. 고대 일본의 왕은 "미코토(mikoto)"라고 불리었다. 이는 "그의 왕국"을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 "말후토(malhuto)"에서 기원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본의 왕은 "미카도(mikado)"로 일컬어진다. 이는 "고귀한 자(the noble)"를 뜻하는 히브리어, "미가돌(migadol)"과 유사하다. 고대 일본어에서 지역의 지도자를 "아가타-누시(agata-nushi)," 라 하였다. "아가타"는 "지역"을 뜻하고 "누시"는 "지도자"를 뜻한다.  히브리어에서 이들 단어는 각각 "아구다(aguda)" 그리고 "나시(nasi)"가 된다.
일본의 고대 민요의 가사 중에는 일본어로 이해할 수 없는 단어들이 많다. 에이지 카와모리타(Eiji Kawamorita) 박사는 이들 중 상당수가 히브리어라고 여긴다. 쿠마모토현에서 전해오는 민요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이 부른다: "할렐루야, 할리야, 할리야, 토오세, 야웨, 야웨, 요이토나... (Hallelujah, haliya, haliya, tohse, Yahweh, Yahweh, yoitonnah...)" 이것 역시 마치 히브리어인 것처럼 들린다.

g) 성경과 일본 신화의 유사점
성경의 이야기와 일본의 신화에는 주목할 만한 유사점이 있다. 일본의 어느 학자는 일본 신화 중에서 니니기(Ninigi)의 이야기는 성경에 나오는 야곱의 이야기와 상당히 비슷하다고 지적한다. 일본의 신화에서 일본의 왕가와 야마토국은 하늘에서 내려온 니니기의 후손들이라고 전해진다. 니니기는 야마토 혹은 일본국의 조상이다. 반면 야곱은 이스라엘의 조상이다. 일본의 신화에 따르면 하늘에서 내려올 자는 니니기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 사람이 준비를 하고 있을 때, 니니기가 태어났고, 결과적으로 니니기는 그 사람을 대신하여 하늘에서 내려와서 일본국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이와 비슷하게 성경에서는 야곱의 형인 에서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기로 되어있었지만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축복은 야곱에게로 돌아가고 야곱은 이스라엘의 조상이 되었다.
일본의 신화에서는, 니니기가 하늘에서 내려온 후에 "코노하나-사쿠야-히메(Konohana-sakuya-hime)"와 사랑에 빠져 그녀와 결혼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 뿐만 아니라 그녀의 언니와도 결혼할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그녀의 언니는 못생겨서 니니기는 그녀를 아버지에게로 돌려보낸다. 마찬가지로  성경에서는 야곱이 아리따운 라헬과 사랑에 빠져 결혼하려 한다. (창29) 그러나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의 언니보다 먼저 그녀가 시집갈 수 없다는 것을 이유로 언니(레아)에게 먼저 장가갈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언니는 별로 예쁘지 않아서 야곱은 그녀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처럼 니니기와 야곱의 이야기에는 유사점이 보인다.
일본의 신화에서 니니기와 그의 처 코노하나-사쿠야-히매는 야마사치-히코(Yamasachi-hiko)라는 이름의 자식을 낳는다. 하지만 야마사치-히코는 그의 형에게 괴롭힘을 당하여 바다 신의 나라로 가야만 했다. 그곳에서 야마사치-히코는 신비의 힘을 얻어 그의 형을 기아(饑餓)에 처하게 하지만 나중에는 죄를 용서해준다. 성경에서 야곱은 그의 처 라헬과의 사이에서 요셉을 낳고 요셉은 그의 형들에게 괴롭힘을 당하여 애굽으로로 가게된다. 그곳에서 요셉은 애굽의 총리가 되고 권력을 얻어서 그의 형들이 기아로 인해 애굽으로 왔을 때 그들을 용서하고 도와준다. 이와 같이 야마사치-히코와 요셉의 이야기도 대응관계에 있다.
 
성경의 족보와 일본 신화의 유사성

일본의 신화에서 야마사치-히코는 바다 신의 나라의 딸과 결혼하여 우가야-후키애즈(Ugaya-fukiaezu)라는 자식을 낳는다. 우가야-후키애즈는 네 명의 아들을 낳았다. 그들 중 둘째와 셋째 아들은 다른 곳으로 가버렸다. 넷째 아들인 진무(Jinmu)가 황제로서 야마토의 땅을 정복하게 된다. 일본 왕실의 계보는 여기서 비롯된다. 반면에 성경은 어떠한가?
요셉은 애굽 제사장의 딸과 결혼하여 므낫세와 에브라임, 두 아들을 낳는다. 에브라임은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는 점에서 우가야-후키애즈와 닮았지만 그의 둘째, 셋째 아들은 일찍 죽임을 당하게 된다. (대상7:20-27) 그리하여 넷째 아들의 후손에서 여호수아가 나와서 가나안 땅(이스라엘의 땅)을 정복하게 된다. 이스라엘 열개 지파의 왕가의 계보는 에브라임에서 시작된다.
이와 같이 우리는 성경의 계보와 일본의 신화 사이에 주목할 만한 유사점이 있음을 본다 - 니니기와 야곱, 야마사치-히코와 요셉, 일본의 왕가와 에브라임의 지파. 게다가 일본의 신화에서는 하늘이 타카마의 하라(Takama-ga-hara 또는 Takama-no-hara)로 불리운다. 니니기가 그곳으로부터 와서 일본국을 세웠다. 이 타카마의 하라와 관련하여, 일본의 연구가 젠이치로우 오야베(Zen'ichirou Oyabe)는 이곳을, 한때 야곱과 그의 조상들이 가나안에 와서 이스라엘 국가를 세우기 전에 살았었던 토가마(Togarmah) 지역에 있는 하란성(Haran 城)으로 본다.
야곱이 그의 후손들이 가나안 땅을 상속 받을 것이라는 하나님의 언약을 받을 때, 꿈에서 하나님의 사자(使者)들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을 본다. (창28:12) 이 점은 니니기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과는 다르지만 비슷한 이미지라 할 수 있겠다. 구체적인 디테일을 제외하면 일본 신화의 큰 줄기는 성경의 기록과 매우 유사하다. 이후 8 세기 경에 저술된 일본 연대사인 코지키(古事記)와 니혼-쇼키(日本書紀)의 신화들는 원래 성경의 이야기들을 토대로 한 것이었지만 나중에 다양한 이교적 요소가 섞였을 가능성도 생각해 봄 직하다. 심지어 일본 신화는 원래 일본인이 야곱, 요셉 그리고 에브라임의 후손들임을 보이기 위한 일종의 족보였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마저 생각해 볼 수 있겠다.

h) 머리 모양의 유사점
 
고대 일본 사무라이의 머리 모양인
'미즈라'(mizura)
유대인의 '페이욧'(peyot)

위 왼쪽의 사진은 일본의 나라(奈良)에서 출토된 5 세기 후반의 유물 중에서 발견된 고대 일본의 사무라이의 상이다.
이 상은, 머리카락이 관 아래로 내려오며 말아진 채로 양쪽 귀 앞에 달린 "미즈라(mizura)"로 알려진 고대 일본남자의 헤어 스타일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일본 사무라이들의 이러한 머리 모양은 광범위하게 볼 수 있었으며, 이것은 중국이나 한국에서 유입 된 문화가 아닌 일본 고유의 문화이다.
이것이 머리카락을 말아서 귀 앞으로 길게 늘어뜨리는 유대인들의 헤어 스타일인 "페이욧(peyot)"과 닮았다는 사실은 단지 우연일 뿐인가? "페이옷"은 유대인들의 독특한 머리모양이며 오랜 기원을 갖는다.  시리아에서 출토된 기원전 8 - 9 세기경의 인물상이 있는데, 이 상은 페이욧을 한 히브리 남자가 장식술(fringe)이 달린 숄(shawl)을 걸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원래 하나님을 믿던 일본 왕실에 이스라엘 유민은 거부감 없이 받아 들여졌을 것이고, 이스라엘 제사법을 따라
신토를 만들었을 것입니다.
하나님께 제사를 드려야할 신토에 현재 태양신과 조상신이 숭배되고 있고, 하나님을 믿던 일본 왕실 사람들이 신의
자손으로 신격화 되어 오히려 하나님을 대적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http://www.aspire7.net/belief-1-19-d.html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