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Monday, August 25, 2014

berber is white

Blacks in North Africa and Middle East Often Face Virulent Racism from Arabs


As the West continues to train its focus on racism leveled at blacks by white people in the U.S. and recently in Europe and Israel, attention has increasingly been directed at the mistreatment of blacks byArabs in Northern Africa and the Middle East.

For years, observers interested in probing a little more deeply in Iraqi society than the typical Western news stations found that the sizable black population in Iraq endures a form of virulent racism that African Americans haven’t seen in more than 50 years. Blacks there say they are regularly called “slave” and followed by groups of kids yelling epithets.

The Canadian academic Salim Mansur has claimed, “Blacks are viewed by Arabs as racially inferior, and Arab violence against blacks has a long, turbulent record.”

A piece broadcast on a radio station in the Netherlands took a deep look at the racism experienced by sub-Saharans Africans in Morocco, where they are viewed with such suspicion by the local Arabs that an Arab shopkeeper even warned the European reporter to stay away from the Africans because “they might eat you.”

The Africans are forced to live in a camp deep in the woods because they are unable to find jobs to make money—and when they do find work, they believe they are paid poorly because they are black. They are also frequently victimized by criminals who know the Africans can’t report it to authorities because they would face deportation.

“Arabs hate black people. And that is not from today. It is in their blood,” Aboubakr, a young man from Senegal who is hoping eventually to cross over into Europe, told the reporter for RNW (Radio Netherlands Worldwide). “Friends of mine were attacked with a knife. Bandits target us because they know we cannot go to the police, even if we are robbed and hurt. Having no papers, we will be caught instead. Blacks have no rights here.”

Aboubakr is also insulted that Moroccans “cannot believe many of us are Muslims too.” According to him, people are surprised when they see him kneeling for prayer. “They don’t think a black can be Muslim.”

Many Africans know that Arab states have not responded to atrocities in places like Darfur and Sudan because the people getting slaughtered are black Africans.

Black African guest workers in places like Egypt, Algeria and Libya have spoken about being publicly ridiculed and physically assaulted by Arabs. Egyptian writer Mona Eltahawy has written about watching a Sudanese girl being assaulted and tormented on the Cairo Metro, concluding, “We are racist people in Egypt and we are in deep denial.” She says the Arab world has ignored the suffering of Darfur because the victims are black. “We only pay attention when America and Israel behave badly.”

Meshael Alayban: Saudi Princess Accused of Enslaving Kenyan Maid

Because Europe has become more aggressive about patrolling ts borders specifically to keep the Africans in North Africa from slipping in, more migrants are stuck in places like Morocco, where they are forced to live in ghettos like the tent camp they created in the woods.

“Years ago, people had to get used to their presence, but now the relations are okay,”  a shopkeeper in a mountain village near the forest told Radio Netherlands. When a tall, black man walked into the shop and purchased rice, yoghurt and other food, the shopkeeper said, “The authorities advise me not to sell to them, but I sell to anyone. We’re all the same.”

Ironically, even as the Arab countries continue to mistreat the black Africans, they also find themselves on the receiving end of racist treatment. The United Arab Emirates national soccer team just got an apology from the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for referring to them as “sand monkeys”—on the AFC website!

The “AFC apologizes for an editorial mistake in which the UAE National Team was inadvertently referred to by an inaccurate nickname on the AFC’s official website,” the organization said in a statement.

It said the comment was due to an “error, which was mainly because of referral to a popular web-based encyclopaedia” and that it “was corrected immediately after it was noticed.” The AFC said it was sorry for “any hurt this might have caused to the UAE Football Association and UAE football fans.”

The day before, the UAE federation secretary-general Yusuf Abdullah said in a statement, “We express our strong resentment over the use of this bad description by the AFC website.”

“What happened is unacceptable and shows disrespect to others. It is proof of racist attitudes that are starting to surface,” he said, demanding “a quick official apology.”

The UAE football team is usually referred to as “Al-Abyad”, or the whites, based on the color of their strip. But a report on the AFC website about a “friendly” (match) between the UAE and Uzbekistan on Friday described the team of the desert Gulf state as “sand monkeys.”

About Nick Chiles

Nick Chiles is a Pulitzer Prize-winning journalist and New York Times bestselling author. He has written or co-written 12 books and won over a dozen major journalism awards during a journalism career that brought him to the Dallas Morning News, the Star-Ledger of New Jersey and New York Newsday, in addition to serving as Editor-in-Chief of Odyssey Couleur travel magazine.


http://atlantablackstar.com/2012/10/17/blacks-in-north-africa-and-middle-east-often-face-virulent-racism-from-arabs/

Saturday, August 23, 2014

사람은 지능이 낮은 것에 가장 수치심을 느낀다.

mangyg
클릭하면 해당 댓글의 단축주소가 복사됩니다.

11/12/11 23:46

Mithinza님// 동의합니다. 사람이 가장 수치심을 느끼는 정도가 지능, 외모, 재력, 성격, 운동능력 순이라니 아무래도 더 민감할 수 밖에 없겠죠.
운동 능력이나 신체적 우위를 가지고 흑형 간지, 우월한 흑형 등등 찬양하긴 하지만 우리가 별로 수치심이나 열등감을 느끼지는 않는 것도 지능의 열세에 비해서야 전혀 민감하지 않기 때문이죠. [m]
 

인종의 지능 차이

Date2011/12/11 23:10:10
Name  TimeLord
Subject  인종의 지능 차이
다음 진술은 때로 사람들에게 반발을 일으키지만 지능 연구가들(Gottfredson, 1997)에 의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사실이다.

1. 인간 개체군들 간에서는 특정한 형태의 정신 능력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2. 더 높은 평균 정신능력을 소유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좀더 이점을 가진다.

사람들이 흔하게 쓰는 인종 개념이 모호하다면 그냥 인간 개체군이라는 말로 살짝 바꾸면 된다. 그리고 지능의 개념을 정의하기 어렵다면 단지 특정 정신능력이라고 칭하면 이 문제를 논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Tang 등이 진행한 연구는 인종이 전혀 무의미한 개념이라는 우리의 희망 사항과는 상당히 다른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still some who maintain that “races” do not exist at the genetic level. Tang et al.’s [180] study of 3,636 individuals who donated a DNA sample and identified themselves as being White, East Asian, African-American, or Hispanic argues strongly against this popular, though misinformed, conten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selfidentifications clustered almost perfectly according to 326 measured DNA markers. There were only five individuals with DNA that matched a racial/ethnic group other than the one they had checked to classify themselves. That is an error rate of only 0.14 percent. Tang et al. [180] concluded that,
“ancient geographic ancestry,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self-identified race/ethnicity—as opposed to current residence—
is the major determinant of genetic structure in the U.S. population” (p. 268).

상당수의 자료에 따르면 흑인은 백인보다 1 표준편차 정도 낮은 점수를 기록한다. 이러한 차이에 선천적인 요소가 작용하는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저명한 심리학자 Arthur Jensen은 이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해 온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그는 인종주의자가 아니고 개인차를 중시할 것을 부탁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아왔다.

러시턴 교수와 젠슨을 비롯한 이 분야 연구자들의 글을 읽어보았는데 인종 차별적인 뉘앙스는 전혀 찾아보기 힙들었다. 게다가 그들은 단지 일반 사람들에게 아무 근거 없이 그런 사실을 알리려고 대중지에 글을 쓴 것이 아니라 를 비롯한 저명한 학술지들에 (여러 근거와 함께) 논문을 올리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이런 사람들에게 어떤 의도가 존재한다고 보는 것은 조금 무리한 생각이다. 그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도 지적했듯이 Jensen은 결코 인종주의자가 아니다.

흑인과 백인의 차이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리의 희망과는 다르게 표준화된 시험에서 인종 간의 차이는 80년대 이후로 좁혀지지 않고 있다. 더군다나 Charles Murray(2007)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드콕 존슨과 같이 표준화된 지능 검사에서 흑인과 백인의 차이는 여전히 나타났다.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미루어 봤을 떄 가까운 시일 내에 흑백 간의 지능 차이가 크게 줄어들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림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SP) 통계



Figure9.

IQ          백인                        흑인

130       97.7%                   99.9 %

115       84.1%                   97.7%

100       50%                     84.1%

85         15.9%                  50.0%

70         2.3%                   15.9%

55         0.1%                    2.3%

그림2. 흑인과 백인의 지능지수 차이.

흑인: IQ 85
백인: IQ 100

위에서도 보다시피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사람은 흑인이 훨씬 많다. IQ 115 인 사람을 비교해 보면 7배 차이가 난다. 더군다나 일반적으로 영재로 평가되는 IQ 130 에서는 23배로 그 차이가 엄청나게 벌어진다.

Arthur Jensen과 Rushton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여러 증거들과 추론을 제시하고 있다.

1. 인간 개체군 간의 차이가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은 g에서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g-loading이 높은 과제일수록 그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흑백 간의 차이는 숫자 거꾸로 외우기와 같은 간단한 과제에서도 역시 나타나며 Raven test와 같은 복잡한 과제에서는 그 차이가 더 커진다.

2. 가장 단순한 기초 정보 처리 과제에서도 인간 개체군 간의 차이가 나타난다. Reaction time과 지능의 관계는 잘 확립되어 있다. 기초 정보 처리 과제와 지능과의 상관성은 인종, 성별, 나이를 막론하고 그 관계가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능이 높은 사람은 좀더 일관적이고 빠른 반응을 보인다.



그림3. 인간 개체군 간 반응 시간 차이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Inspection time 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제는 지능과의 상관계수가 Reaction time보다 좀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주 간단해서 어린 아이들도 쉽게 해낼 수 있었다. Inspection time에서 요구하는 것은 아주 간단하다. 두 선 중 누가 더 긴지 판단하는 것이다.




그림 4. inspection time


3. 입양 연구. 입양된 흑인들의 지능지수와 백인들의 지능지수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가 있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림5. 입양연구


4. 뇌의 크기는 지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인종마다 뇌 크기가 차이가 난다. 또한 뇌 크기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Jensen에 따르면 두 집단이 대략 1표준편차 정도 뇌 크기가 차이가 나고 뇌 크기와 지능지수의 상관계수가 0.4라면 6point 정도의 IQ 차이가 난다. 실제로 Sarich 와 Miele (2003) 는 흑백 간의 뇌 크기 차이가 대략 0.8표준편차 정도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림6. 인간 개체군 간 Cranial Capacity 차이


Rushton과 Jensen의 주장을 제대로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은 상당히 많다. 지능검사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주장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괜히 허수아비를 때리는 느낌이 간혹 들 정도니 말이다. Jensen도 그렇게 주장한 적이 없다.  만약 학습된 지식을 측정하기 때문이라면 왜 레이븐 테스트과 같이 학습된 지식을 평가하지 않은 비언어적 능력 검사에서 결정성 능력 검사만큼이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평등주의자들은 올바른 답변을 해 줄 수 있는가?

교육이나 사회 경제적 위치 때문에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이라면 정규 교육이 시작되기 전인 5살 때 이미 흑백 지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인데 일반적인 답변은 솔직히 좀 이상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게다가 다양한 사회 경제적 지위에서 여전히 흑인과 백인의 지능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해명을 해 줄 수 있단 말인가?

일반적으로 경제적 수준이 비슷해도 백인의 지능지수가 흑인의 지능지수보다 높게 나온다. 사실 지능 연구가들도 이 차이가 왜 나는 것인지 아직 확실히 모른다. (Gottfredson, 1997) 대중들은 경제적 차이가 흑백 지능지수 차이를 불러온다고 믿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아마 분명히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고 이 점을 밝혀내기 위해 노력을 계속 해 나가야 한다.



그림7. 경제 수준에 따른 흑백 지능지수 차이
Average Full scale IQ on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Revised), for random samples of white(N=622) and black(N=622) California schoolchildren in ten scioeconomic categories

개인적으로 나도 인간 개체군 사이에서의 지능 차이가 환경 때문일 것이라 믿고 있지만 Arthur Jensen 이나 Rushton의 주장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고 본다. 오직 이러한 문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증거와 추론에 의해서 판별되어야 하는 것이지 정치적인 의도가 끼어들어서는 안된다.

내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인종의 지능 차이가 선천적인지 아닌지는 경험적으로 탐구해 봐야 알 문제라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인종의 지능 차이에 관한 유전 가설과 환경 가설 중 어느 한쪽이 우위에 서야 할 이유를 잘 모르겠다. 과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환경적 가설 설명이 지능 차이를 그럴듯하게 설명해주지 못한 상태에서 유전 가설은 그와 동등하게 취급되어야만 한다. 어떤 현상 A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유한한 가설이 a,b,c,d...n이 있고 그 중 다른 가설들이 입증을 하는데 실패한다면 또 다른 가설도 생각해 볼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 가설은 충분한 증거와 합리적인 설명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

설사 그러한 차이가 사실로 밝혀지더라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훨씬 바람직한 태도이다.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지능지수가 흑인보다 약 30점 정도 더 높게 나온다 하더라도 우리는 집단의 어떤 배경을 보고 사람을 판단하는 법이 아니라 그 사람 자체를 봐야 한다는 것을 학교에서는 물론 사회에서도 익히 배워왔다. 핑커 교수가 '위험한 생각들'에서 기고한 글에서 말했듯이 사실과 의무는 다르게 취급해야 하며 정치적 평등이라는 것은 보편적 인권에 대한 약속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우리가 이런 차이를 약간이나마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없게 만들거나 운명론적인 입장을 취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자면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의 성격을 바꿈으로써 흑백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소수 민족 우대 정책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태도를 견지할 때만이 진정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1] Rushton, J. P. (1992). Cranial capacity related to sex, rank, and race in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6,325 U.S. military personnel. Intelligence , 16 , 401-413.


[2] Rushton, J. P., & Ankney, C. D. (1996). Brain size and cognitive ability: Correlations with age, sex, social class, and race. Psychonomic Bulletin and Review , 3 , 21-36.


[3] Rushton, J. P., & Jensen, A. R. (2003). African-White IQ differences from Zimbabwe on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are mainly on the g fac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77-183.


[4] Rushton, J. P., & Jensen, A. R. (2005). Thirty years of research on race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1, 235-294.


[5]Rushton, J. P., & Jensen, A. R. (2005). Wanted: More race-realism, less moralistic fallacy.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1, 328-336.


[6]Rushton, J. P., & Ankney, C. D. (2009). Whole-brain size and general mental ability: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19, 691-731.


[7]Rushton, J. Philippe; Jensen, Arthur R. (2010). "Race and IQ: A Theory-Based Review of the Research in Richard Nisbett ’ s Intelligence and How to Get It". The Open Psychology Journal 3: 9–35
http://www.charlesdarwinresearch.org/2010%20Review%20of%20Nisbett.pdf


[8]Murray C. The magnitude and components of change in the black–white IQ difference from 1920 to 1991: a birth cohort analysis of
the Woodcock–Johnson standardizations. Intelligence 2007; 35:305-18.

[9] charles Murray (2002), IQ and income inequality in a sample of sibling pairs from advantaged family backgrounds  


[10] charles Murray, The bell curve: intelligence and class structure in america life


[11]NAEP 2008: Trends in Academic Progress. NCES 2009-479
http://eric.ed.gov/ERICWebPortal/search/detailmini.jsp?_nfpb=true&_&ERICExtSearch_SearchValue_0=ED505083&ERICExtSearch_SearchType_0=no&accno=ED505083


[12] Gottfredson, L. S. (1997). Mainstream science on intelligence: An editorial with 52 signatories, history, and bibliography. Intelligence, 24(1), 13-23.


[13]The evolution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coefficient of additive genetic variance in human brain size 
Intelligence, Volume 35, Issue 2, March-April 2007, Pages 97-114
Geoffrey F. Miller, Lars Penke


[14]Arthur Jensen, Straight talk about mental tests, Free press, 1981


[15]Sarich, V., & Miele, F. (2003). Race: The reality of human differences. Boulder, CO: Westview Press.


* Noam Chomsky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12-14 09:52)
 

Monday, August 18, 2014

계속 음식 생각나면 맛 중독 의심… 미각 훈련 필요해

직장인 이모(27·여)씨는 지독한 탄수화물 중독이다. 일주일에 딱 두 번, 주말에만 라면을 먹기로 한 후부터 휴일 아침이면 라면 생각에 저절로 눈이 떠진다. 사실 라면만 주말에 먹을 뿐 이씨의 ‘면’사랑은 주중에도 계속된다. 칼국수, 냉면, 비빔국수…. 밥을 먹으러 간 식당에 면 요리가 있으면 대개 면을 주문한다. 커피전문점에서는 시럽이 들어가지 않은 아메리카노를 주문하는 대신 달콤한 조각케이크를 산다. 안 되는 줄 알면서도 저녁에는 밀려오는 허기에 과자를 집어든다. 

이씨의 하루가 남 일 같지 않다면 당신도 미각과 두뇌가 만들어낸 ‘맛의 중독’에 빠졌을 가능성이 크다. 탄수화물 중독은 가장 보편화된 미각 중독이다. 탄수화물 자체가 당이기 때문에 ‘단맛 중독’이라고도 한다. 단맛이 나는 음식은 어떤 음식보다도 강렬하고 심지어 심리적 허기까지 자극한다. 고탄수화물 식사를 했을 때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것 외에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을 두뇌로 운반하는 역할도 한다. 두뇌로 전달된 트립토판은 기분을 좋게 하는 신경전달 물질인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한다. 세로토닌이 감소하면 우울, 의욕 상실, 초조함 등의 금단현상이 오기 때문에 뇌는 더 많은 탄수화물을 요구하게 된다. 신체의존도도 상당하다. 혈당 지수가 높은 음식이나 탄수화물 음식을 단기간에 과량 섭취하면 이를 에너지원으로 분해하려고 인슐린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된다. 이로 인해 신체는 일시적인 저혈당 상태에 빠진다. 저혈당은 다시 혈당을 올리고자 탄수화물 폭식을 부추긴다. 저혈당과 고혈당을 오르내리며 탄수화물을 탐닉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 몸은 서서히 단맛에 길들게 된다. 당연히 당뇨병이나 비만 같은 합병증이 온다.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61.4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 섭취량인 50g을 훌쩍 넘는다. 청소년들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이보다 13% 많은 69.6g이다. 소금만큼 설탕 중독 또한 심각한 수준이다. 물론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양소다. 하지만 설탕과 밀가루에 든 탄수화물은 대부분 정제된 단순탄수화물이어서 소화 속도가 빨라 인슐린 분비와 지방 축적을 촉진한다. 금세 허기지기 때문에 밥을 먹고 돌아서서 또 과자를 찾게 된다. 반면 현미 등 가공하지 않은 곡식, 과일, 채소에 들어 있는 복합탄수화물은 당분 분자의 구조가 복잡해 소화 속도가 느려 지방으로 바뀌는 양도 적다. 

단맛뿐만 아니라 매운맛·짠맛 중독도 위험수위다. 우리 국민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평균 4583㎎으로 최근 섭취량이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WHO의 하루 최대 권장량 2000㎎의 2배가 넘는다. 이렇게 짠맛에 길들어 있으면 고혈압이 생겨 저염식 식사를 하려고 해도 쉽지 않다. 맛이 없는 것은 물론 간이 거의 안 된 병원 밥을 먹을 때 메스꺼운 것처럼 속이 울렁거리기까지 한다. 무기력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다. 짠맛에 중독된 미각과 몸이 건강식을 온몸으로 거부하는 것이다. 

매운맛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맛있는 음식이라도 많이 먹다 보면 미각 세포의 반응도가 감소해 싫증이 나지만 매운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자극을 받아 혀가 얼얼해져도 젓가락을 들게 된다. 단맛, 신맛, 짠맛, 쓴맛과는 질적으로 다른 ‘고통의 쾌락’이다. 사실 매운맛 자체가 몸에 안 좋은 것은 아니다. 매운맛을 내는 고추 속 캡사이신은 신진대사량을 늘리고 지방분해를 촉진해 비만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에는 비타민C도 풍부하기 때문에 원기 회복과 감기예방 효과가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이 과하면 좋지 않듯 매운 음식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위장관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정훈용 전문의는 “고추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위궤양이 발생하기 쉽고 간 기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고 말했다. 

캡사이신이 암세포에 맞서 싸우는 인체의 아군 격인 자연살해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려 위암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아산병원 의학과 김헌식 교수팀)도 나왔다. 캡사이신 자체가 암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의 캡사이신을 섭취하면 암세포를 공격하는 자연살해세포를 위축시켜 간접적으로 암 발생을 돕는 셈이다. 자연살해세포는 암 세포막에 구멍을 낸 후 세포질과립을 분비해 암 세포를 괴사시키는 항암면역세포다. 

잘못된 미각을 머릿속에서 지우려면 끊임없는 훈련이 필요하다. ‘미각교정다이어트’의 저자 박민수 서울ND의원 원장은 “중독은 자극적인 맛이 입안에 머문 시간과 강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미각 훈련을 할 때는 입안을 중립 상태로 유지하는 미각소독, 즉 입에서 자극 맛의 잔해와 기억을 지워야 한다”고 말했다. 가장 유용한 도구가 물과 채소다. 물은 혀의 미뢰 사이에 낀 자극 맛을 제거하고 단맛이 없는 채소는 칫솔처럼 이와 혀 사이사이에 낀 자극적인 맛을 씻어낸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3&oid=081&aid=0002452381

Thursday, August 7, 2014

Egyptians are Greeks.


Boviss1
2014. 7. 31.


 
If this reply is for me - these are the commonplaces of human anthropology.
The Pelopponese mountains of Greece were named after King Pelops of Greece. Europe was named after Europa, the princess of Phoenecia. Egyptian greatness lasted 5000 years. The Mediterranean was their backyard. Mummy grave goods have contained Lapis from the Hindu Kush and Coca from South America. The earliest 'humans' and hominids are all African. We all have African ancestors.
간략히  ·  번역

Boviss1
2014. 7. 31.


 
Sorry! King Pelops of Egypt.

polychronio
2014. 7. 31.
수정
 
+Boviss1 egyptians are greeks. It's written in greek history book greeks built egyp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