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February 4, 2012

중세유럽의 인구와 군대, 비용



1. 인구 대 군사 비율

보 통 중세유럽의 군대는 전문무사계층이자 유지비가 많이 드는 기사를 중심으로 한 편제였기 때문에 한 국가에 존재하는 군인의 비율은 전체인구에 비해 미약한 수준입니다. 평균적으로 중세봉건 국가에서 군인 : 전체인구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1: 150~200 수준이었습니다. 혹은 중세봉건 국가 내에 존재하는 군인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0.5~ 0.7 퍼센트 수준 이었습니다. 즉 인구 1000만 정도의 왕국이 있다면 대략 5만 ~7만 정도가 그 왕국에 존재하는 총병력의 숫자였던 셈입니다.

백년전쟁이 시작될 당시 (14세기 초반) 당시의 영국과 프랑스의 인구, 총군사 수(국왕의 군대+ 영주의 군대+ 용병), 동원가능병력(국왕이 한 번에 동원할 수 있는 최대치의 병력)을 살펴보면,

영국: 총인구 375만, 총군사 수 5만 여명, 동원가능병력 3만 여명
프랑스: 총인구 1600만, 총군사 수 10만 여명, 동원가능병력 4~5만 여 명

백년전쟁 초반 당시의 영국과 프랑스의 군대가 중세봉건 국가가 동원할 수 있는 최대치의 병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르 네상스에 들어서면 유럽의 국가들이 좀더 중앙집권화 되고, 군대가 상비군화하기 시작하면서 좀더 한 국가가 동원할 수 있는 군대 숫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르네상스에는 한 국가가 통상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야전군이 3~4만 여명 정도였고, 최대 5~6만 명 정도의 병력동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중세의 통상적인 야전군은 1만 명이하) 그렇다고는 해도 군인 대 전체인구 비율은 여전히 1퍼센트 미만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입니다.

앙리 4세 당시의 프랑스의 총인구는 1600~2000만 명, 상비군 5만 여명 이었고, 동시기의 신성로마제국은 총인구 2900만 명 정규군 총수는 15만 명 이었습니다. 16세기의 오스만 제국은 총인구 2800만 명 정규군 30만 명 정도의 군세를 유지했습니다.

이후 절대왕정 시대가 도래하면서 군대의 규모는 다시 비약적인 성장을 하게 되는데, 루이 14세의 프랑스에서는 약 30만 명의 정규군이 존재했습니다. 루이 14세 당시에는 인구의 약 1.5 퍼센트를 군인으로 동원할 수 있었는데, 농업에 의존하는 전근대 국가에서는 인구의 1.5 퍼센트 정도가 유지할 수 있는 직업군인의 한계치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찍부터 고도로 발달된 중앙집권제도와 효율적인 군인동원체제를 일찍부터 완성시킨 중국에서 조차도 인구의 1.5 퍼센트 이상이 군인인 경우는 드문 경우였습니다. 중국의 시대 별 인구 대 군인의 비율을 보면


무제 시절의 한 나라: 총인구 5~6천 만명. 총병력 100~110만 여명. (대부분이 징집병)

전성기의 당 나라: 총인구 4~5천 만명. 총병력 60~70만 명

전성기의 북송: 총인구 약 1억명 (추정치). 총병력 110만 명

원나라: 총인구 약 6천 만명. 총병력 100만 명

건국초기의 명나라: 총인구 약 6천만 명. 총병력 180만 명

16세기의 명나라: 총인구 1억 ~1억 5천만명 (추정치). 총병력 330만 명 (실제로 동원가능한 병력은 100만 명)


2. 한 국가가 지출하는 군사비:

평균적으로 봤을 때 중세국가가 지불하는 군사비는 평화시에는 1년 예산의 30~40퍼센트 정도, 전쟁시에는 70~80 퍼센트 에 육박했습니다.

일예로 13세기의 영국의 총세입이 4만 파운드 (현대돈으로 약 1200억 원 정도) 였는데, 이 중 군사비가 약 1만 5천 파운드에 육박했습니다. (평화시에)

르 네상스, 근세에는 전쟁비용이 더 비싸져서 평상시에는 1년 예산의 반 정도를 국방비에 투입됬고, 전쟁시에는 1년 예산의 1.5배 ~ 3배의 돈이 투입됬습니다. 국가경제 전체 에서 전쟁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GNP 의 4~8 퍼센트 정도 였습니다.


3. 1 개 병사의 유지에 필요한 돈.

중세, 르네상스의 병사들은 자비로 무장하고, 식량을 해결했기 때문에 국가가 병사들에게 지급한 봉급이 실질적인 유지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세 및 르네상스의 각 병과의 하루 유지비(봉급)은

중세: (14세기 영국 기준)

베너렛 기사 (상급기사): 일당 4 실링 (약 25만원)
정식기사: 일당 2실링 (약 12만원)
일반 중기병/ 준기사: 일당 1실링 (약 6만원)
경기병/승마궁병, 승마보병: 일당 6 펜스 (약 3만원)
궁병/ 보병: 일당 3펜스 (약 1만 5천원)
경보병: 일당 2 펜스 (약 1만원)

이제 르네상스 시대의 병사의 월급 (1달 유지비)를 보면, (참고로 16세기의 1 두카토는 현대 돈으로 약 15~20만원

대령: 80 두카토
대위: 40 두카토
중위: 15 두카토
소위: 12 두카토
하사: 9 두카토
상등병: 6 두카토
중장기병: 9 두카토
헬버드 병: 4 두카토
장창병: 3 두카토
아큐버스 총병: 4 두카토
머스켓 총병: 3 두카토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