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Tuesday, January 14, 2014

경상도 지역 청동기 문화는 송국리와 다르다

홈 > 중부고고학회 > 고고학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전개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박성희(Park, Sung hee) 저
 pp.5~30 (26pages)
  간행물명 : 고고학
  권/호 : 고고학 8-2호 / 2009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간행물유형 : 학술저널
  주제분류 : 역사학
  파일형식 : PDF
 
 요약 
Ⅰ. 序言 
Ⅱ. 遺蹟檢討 
Ⅲ. 聚落의 地域的 展開와 樣相 
Ⅳ. 結語 
참고문헌
 
 한국어초록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미사리유형,가락동유형,역삼동유형,검단리유형,송국리유형,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Geomdanri, Songguk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477769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