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 … 일본속의 고대한국전’
한국(인물 왼쪽)과 일본서 각각 출토된 쇠뿔손잡이 항아리와 덧띠토기. 기원전 1∼2세기 무렵의 것으로 같은 곳서 나온 양 닮았다. 당시 일본의 야요이 토기와는 다른 양식이다. [사진=김경빈 기자] |
요시노가리(吉野ケ里) 출토 유물은 한반도의 농경문화가 일본에 전래돼 고대 일본 사회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다. 요시노가리는 1986년부터 현재까지 발굴중인 일본 최대의 마을 유적으로 넓이가 40만㎡(12만평)다. 여기선 일본 야요이(彌生) 시대(기원전 3세기∼기원후 3세기 무렵) 유물들이 다량 출토됐다.
전시에는 비슷한 시기인 한국의 초기 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 유물 각각 300여점씩을 내놨다. 한·일 유물을 나란히 배치하고 각각 녹색과 붉은색 패널로 표시해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꾸몄다.
아가리에 점토띠를 덧붙여 만든 덧띠토기(사진)는 한강 하류에서 금강하류에 이르는 중서부 해안지역에서 처음 등장해 주변지역으로 전해졌다. 한반도 남부뿐 아니라 규슈를 중심으로 한 일본 열도에서도 나온다. 특히 요시노가리 유적에서는 덧띠토기 외에 한반도계 민무늬토기도 나와 당시의 교류상을 보여준다. 사람이 건너가 전파한 걸로 추정되는 흔적이다.
![](http://images.joinsmsn.com/ui_joins/news10/common/t_ad.gif)
사가현 간자키군에서 나온 동거울은 경북 영천 어은동에서 출토된 것과 크기와 형태가 똑같아 동일한 거푸집에서 주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600여점의 한·일 유물은 12월 2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 머물다 내년 1월 1일∼2월 11일 일본 사가현립미술관으로 그대로 옮겨 전시된다. 02-2077-9278
권근영 기자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916178&cloc=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