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April 28, 2012

백제인이 지켜낸 통일 신라



 역 사 교과서에는 백제가 멸망한 해가 660년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678년이나 존속해 온 나라가 하루아침에 망할 수는 없다. 660년은 당과 신라 연합군이 백제의 서울인 사비성을 함락하고 의자왕의 항복을 받은 것일 뿐이고, 백제라는 거인이 완전히 쓰러지기 위해서는 시일이 더 걸릴 수밖에 없었다. 660년 이후에도 백제 지역 곳곳에서 저항군이 출몰하여 672년까지 저항이 지속된다.
 당 의 사령관 소정방은 백제의 서울을 점령하고 의자왕과 왕족, 신하, 백성 만여 명을 포로로 데리고 당으로 돌아가서는 고종에게 보고를 마치고 바로 이듬해 고구려 침공에 나선다. 애초부터 백제 공격은 고구려 공격이 여의치 않자 신라의 청을 받아들여 실행한 것이었고, 당의 원래 목적은 고구려에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제 잔존 세력과의 전쟁은 대부분 신라 몫이 되어 버렸으므로 오히려 백제 서울을 공략할 때보다 신라로서는 더욱 상황이 어려워졌다.

 당 과 신라의 군대가 사비성을 에워싸자 백제 왕실 내부에는 항복할 것이냐 저항할 것이냐를 두고 논란이 극심했다. 결국 이도저도 결정할 수 없었던 의자왕은 태자 효를 데리고 야밤에 부근의 웅진성으로 도주해 버린다. 이렇게 해서 왕의 지라가 공석이 되자 왕자 융이 성문을 열고 나와 항복한다. 닷새 후에는 의자왕도 태자를 데리고 와서 항복을 하는데 이로써 일단 백제 왕조는 망하게 된다.
 그 러나 열흘 후에 열린 백제 정복 축하연에서 의자왕과 왕자들이 피눈물을 흘리며 당과 신라의 장군들의 잔에 술을 따르고 있는 그 순간에 이미 백제 곳곳에서 저항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저항이 일어나다가 점차 임존성을 장악한 백제 무왕의 조카 부여복신을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백제 부흥 전쟁이 시작된다. 복신은 왜국에 가 있던 왕자 부여풍이 돌아오자 그를 왕으로 옹립하고 각지의 의용군을 받아들여 위세를 떨친다. 웅진에 있던 당나라 군은 서신을 보내 회유하려 하지만, 이미 백제는 거의 다시 선 것이나 다름없는 형세이니 타협할 리 없다. 사실 이 무렵의 백제는 제사까지 다시 지낼 정도로 정상적인 정치 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에 있었다.

 하 지만 참된 적은 내부에 있는 법, 처음부터 기미를 보이던 풍과 복신 사이의 알력이 날로 커 간다. 풍은 비록 왕위에 있었지만 실제 군의 지휘관은 복신이었으므로 허울뿐인 왕이었다. 풍의 주변에서는 실제 권력을 잡으라고 권하고, 복신의 주변에서는 왕이 되라고 권하는 상황이다. 주변을 과감하게 뿌리친 복신과는 달리 풍은 간신배들의 말을 받아들여 마침내 음모를 꾸며 복신을 죽이게 된다. 유능한 지휘관이 죽었으니 군은 분열되고 사기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백제 부흥군은 결국 백강 전투에서 대패하여 무너지고 만다. 이것이 실제적으로 백제를 멸망케 하는 전투인데, 서사적인 서술은 최대한 자제하고 있는 <삼국사기>에서도 이 전투의 처절한 광경을 "연기와 불꽃이 하늘을 붉게 하고 바닷물도 온통 빨갛게 물들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 로써 중심 세력이 무너진 백제 부흥 운동은 이후에 지수신과 흑치상지가 수만의 병력을 모아 다시 일어서지만, 흑치상지는 당이 웅진 도독으로 파견한 왕자 부여융에게 투항해 버리고, 지수신 세력만이 남아 끝까지 항거하다가 진압되고 만다. 정복국의 이전 왕을 도독으로 삼아 보내는 것은 적정을 분열하기 위한 당의 고도한 책략이다. 고구려가 망한 뒤에도 부흥 운동이 일어나자 당은 고구려의 보장왕을 요동주 도독, '조선왕'으로 삼아 고구려에 돌려 보낸 일이 있고, 문무왕이 당의 허락 없이 출병하여 백제의 고지를 점령하자 당 고종은 당에 가 있던 문무왕의 동생 김인문을 '신라왕'으로 봉하여 신라로 보낸 일도 있다(당은 황제를 칭하는 나라였으므로 속국에는 왕이라는 작위를 주었다.).
 그 이후에도 백제 부흥 운동은 백제 각지에서 계속되었지만, 산발적이었고 한덩어리로 뭉치지 못했다. 그리고 672년 신라와 당의 전쟁이 시작되면서 신라에 포섭되어 부흥 운동은 완전 소멸하다.

 그 런데 한 가지 흥므로운 일은 당과 신라의 태도 변화다. 당은 원래 신라의 청병을 받아들이면서 평양 이남의 땅은 신라에 준다는 밀약을 맺었다. 그래서 그렇게 되는 줄로만 알고 있었던 신라는 당이 백제 옛 땅에 웅진도독부를 설치하자 긴장한다. 더구나 당은 웅진도독부의 초대 도독 왕문도가 병으로 죽자 백제 의자왕의 왕자인 부여융을 도독으로 임명해서 보낸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상징적인 사건이 있다. 부여풍의 세력을 평정하고 나서 2년 후인 665년 당의 칙사 유인궤와 백제측의 부여융, 신라의 문무왕 이렇게 셋은 웅진의 취리산에서 백마를 잡고 제문을 묻어 화친을 맹세하는 의식을 올린다. 이미 망한 나라인 백제를 굳이 하데 끼워 제사를 지내는 데서 당의 의도는 확실해진다. 백제의 옛 땅에는 웅진도독부를 두어 확실히 속국화하고, 신라는 김춘추가 병력을 청한 이후로 속국을 자처했으므로 양국을 병립시켜 서로 견제하도록 만들려는 속셈이다. 예전에는 백제와 신라가 독립국으로 분열해 있던 것을 이제 당의 휘하에 속한 두 '지방'으로 만들었으니 당의 의도는 관철되었지만, 신라는 물론 불만이다.

 당 장은 고구려 정벌이 아직 끝나지 않았으므로 치솟아 오르는 분노를 꾹 참았던 문무왕은 고구려가 멸망하자 이듬해(669)부터 백제의 영토와 백성을 야금야금 먹어 들어가고, 그때마다 당은 분통을 터뜨리는 상황이 잇따른다. 671년에는 급기야 당과 전쟁이 시작되었고, 이내 백제 부흥 운동 세력은 당과 신라 양측으로 분열하기 시작한다. 일부 옛 백제의 왕족은 당으로 붙었으나 주요 부분은 신라측과 규합한다. 이윽고 당은 부여융을 웅진 도독 대방군왕이라고 불렀으므로 융을 백제왕으로 봉한 것이다. 하지만 이 무렵에는 이미 백제 유민의 협조를 얻어 신라가 백제 옛 땅을 장악하고 있었다.융은 당에게서는 왕으로 봉해졌으면서도 막상 다스릴 땅은 신라가 장악하고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고민하다가 고구려의 옛 땅으로 도망 간다. 당의 측천무후는 융의 손자를 보내 이름만의 왕위를 잇게 하는 등 속국 백제를 유지하기 위해 애쓰지만 결국 실패하고 만다.
 만 약 백제 부흥 운동이 없었더라면, 당은 백제의 옛 땅을 완전한 식민지로 만들 수 있었을 것이므로 신라는 '삼국 통일'은 커녕 제 몸 보전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통일 신라'가 당의 식민지로 전락하지 않고 어느 정도 독립적인 속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 건 백제 부흥 운동의 덕분이 컸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Blog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