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December 5, 2015

I moved my blog to http://commentsreference.blogspot.com/

http://commentsreference.blogspot.com/

come this blog instead for more information. I no longer use this blog.

(useful comment)arab copied every cultures from greek

those are all greeks...arabs and turks copied from greece greek art, greek music, greek math, greek science, greek medicine(called yunani(meaning greece in arabic) medicine), greek language, greek law, greek government, greek architecture, greek phylosophy, greek foods, greek cultures, greek astronomy and greek chemistry etc etc basically all cultures you see from middle east countries and turkey are greek cultures...

Arabs translated and developed Greek texts and works of music and mastered the musical theory of the music of ancient Greece (i.e. Systema ametabolon, enharmonium, chromatikon, diatonon).[1]


The tradition of philosophy in Ancient Greece accompanied its literary development. Greek learning had a profound influence on Western and Middle Eastern civilizations. The works of Socrates, Plato, Aristotle, and other Greek philosophers profoundly influenced Classical thought, the Islamic Golden Age, and the Renaissance.In medicine, doctors still refer to the Hippocratic oath, instituted by Hippocrates, regarded as foremost in laying the foundations of medicine as a science.


Galen built on Hippocrates' theory of the four humours, and his writings became the foundation of medicine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for centuries. The physicians Herophilos and Paulus Aegineta were pioneers in the study of anatomy, while Pedanius Dioscorides wrote an extensive treatise on the practice of pharmacology.Yunani or Unani medicine (Urdu: طب یونانی tibb yūnānī[1]) is the term for Perso-Arabic traditional medicine as practiced in Mughal India and in Muslim culture in South Asia. The term is derived from Arabic Yūnānī "Greek", as the Perso-Arabic system of medicine was in turn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Greek physicians Hippocrates and Galen.[2]


The Hellenistic origin of Unani medicine is still visible in its being based on the classical four humours: Phlegm (Balgham), Blood (Dam), Yellow bile (Ṣafrā') and Black bile (Saudā'), but it has also been influenced by Indian and Chinese traditional systems.[3]The tambouras (Greek: ταμπουράς [tabuˈras] is a Greek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of Byzantine origin.[1]


 It has existed since at least the 10th century, might have between two and six strings, but Arabs adopted it, and called it a Tanbur. The characteristic long neck and two strings, tuned 5 notes apart.[2]The ancient Greek pandoura was a medium or long-necked lute with a small resonating chamber. It commonly had three strings: such an instrument was also known as the trichordon (McKinnon 1984:10). Its descendants still survive as the Greek tambouras and bouzouki, the North African kuitra, the Eastern Mediterranean saz and the Balkan tamburica 

compare this greek art in 1ad to arab art in 15ad... after arabs tried to copy greek art, greek arts 1500 years ago far more superior...


Saturday, November 21, 2015

Federer's serve became worse in 2007 Federer decline started in 2007 with monocleusis virus undetected yet until 2008

10is, Sep 7, 2012

10isProfessional
Joined:
Jun 26, 2010
Messages:
1,450

Wrong. There is always doubt since using statistics to validate a hypothesis depends on the contextual framework within which you are attempting to interpret that data. For instance I completely disagree that players are altogether better retuners than they were 10 years, especially when you consider players like Hewitt, Nalbandian, Agassi etc and compare them against Nadal, Djokovic and Murray et al. Of course a statistical comparision would be invalid since the latter trio are still in their prime hence their numbers will of course be better than the former group at this juncture.

Anyhow, here are Federer's hardcourt serving statistics from the ATP Website:

2003:
59% 1st Serve
80% 1st Serve Points Won
60% 2nd Serve Points Won

68% Break Points Saved (out of 257)

642 Service Games Played

2004:
61% 1st Serve
78% 1st Serve Points Won
57% 2nd Serve Points Won

73% Break Points Saved (out of 169)

563 Service Games Played

2005:
63% 1st Serve
77% 1st Serve Points Won
60% 2nd Serve Points Won

71% Break Points Saved (out of 191)

645 Service Games Played

2006:
62% 1st Serve
77% 1st Serve Points Won
58% 2nd Serve Points Won

72% Break Points Saved (out of 246)
738 Service Games Played

2007:
63% 1st Serve
78% 1st Serve Points Won
61% 2nd Serve Points Won

64% Break Points Saved (out of 164) <------- b="">Decline Starts


628 Service Games Played

2008:
64% 1st Serve
78% 1st Serve Points Won
58% 2nd Serve Points Won

69% Break Points Saved (out of 181)

562 Service Games Played

2009:
63% 1st Serve
78% 1st Serve Points Won
56% 2nd Serve Points Won

68% Break Points Saved (out of 213)

623 Service Games Played

2010:
61% 1st Serve
79% 1st Serve Points Won
56% 2nd Serve Points Won

68% Break Points Saved (out of 221)

659 Service Games Played

2011:
63% 1st Serve
79% 1st Serve Points Won
57% 2nd Serve Points Won

63% Break Points Saved (out of 168 )

596 Service Games Played
-----------------

The BP saved % and 2nd serve points won % decrease on average in the post-2007 period. Also, there is a correlation that can be made between his season win %, his overall service points won % and the number of break points saved %.

Yes, the post 07 decline in his service game isn't altogether that prominent compared to the decline in his return game but it is there. Service return wise, between 03-07, he never went below 29% return games won, and averaged 30.2%. In 2008 thorugh 2011, the "postpeak" years, Fed never went "above" 28% return games won, and averaged 26.5%. That's a clear and significant decline

When comparing stats such as these, its important to look at "trends", not year-to-year blips in order for a hypothesis to have statistical validity. No one goes straight up or straight down uninterruptedly.     
http://tt.tennis-warehouse.com/index.php?threads/federer-serve.438714/

Friday, September 25, 2015

Nadal cried after losing to Federer

Nadal Ends Federer’s Reign at Wimbledon

Nadal had come the closest to ending Federer’s streak at Wimbledon in last year’s final, pushing his friendly rival to five sets before ending up in tears in the locker room as Federer equaled Bjorn Borg’s modern men’s record with his fifth straight title.

http://www.nytimes.com/2008/07/07/sports/tennis/07tennis.html?pagewanted=all&_r=0

Thursday, August 13, 2015

arrogant nadal use curse words

08/13/2015 | 07:09 PM
Why aren't people also outraged
that for years

Djerko screams in Serbian suck my dic* during matches in Beijing, Shanghai, Barcelona/Madrid, Miami, is dangerous to ball kids

Nadull repeatedly calls opponents, linesmen, umpires puta

Murray's fav word in his vocabulary is the "f" one

and was Serena fined for her tirade filled with filthy language against the lines woman at USO?

Why have these others not been fined/suspended?

They ALL cheat using distractions
 
 

arab music is direct copy of greek music

 It's ancient greek music that influenced middle eastern music. middle easterners took greek cultures in hellenistic period to byzantine period. earlier semitic music did not come to byzantine music. disseminating back to levant and middle eastern was happening in hellenistic period way before byzantine period. middle east had long been part of hellenic culture in byzantine period. it's the bedounin that learn greek style music in byzantine period. greek music influenced european music not arabs. as muslim copied greek music already before they brought greek sounding music to europeans...

https://www.youtube.com/watch?v=hKABwoWrMAA

watch this...the music that middle easterners received in hellenic period is developed new style of greek music. middle easterners don't have this greek sounding music before they were becoming part of greek empire as it was the newly developed greek music. systemic musical scaling, cords, harmony and many other music theory and musical concept were new invented by greeks in hellenistic period. before in ancient world, there was no such concept and musical theory. It's same as  greek sculpting and greek drawing that egyptians and middle easterners in byzantine period. it's all newly invented and developed greek art that middle easterners received. you cannot say those greek art is middle easterner art just because egyptian art was affecting greek art at beginnig stage.

modern Barbarians germanic people contacted with greek music by modern arab people so they have very strong false stereotype that greek music that arabs listen to is arab music so when they listen greek music which is actually origin of modern arab music, they still insist it's middle eastern sound without knowing anything, and whne it's acutally arab music that is greek sounding music. It's not only music but also in greek art, greek architecure, greek math and greek science, barbarians germanic people contacted with those greek civillization throught arabs. barbarians germanic people would have thought those are arabian civillization, if arabian author did not clearly state that studying was learned from greek scholars in the book. but the music is different. It's just listening not in the book which state the greek origin. same with food, arabs and north africans now eat greek foods and people in other world think those are middle eastern foods because foods is not study which uses the book which states the origin and authors even though there is documentation that suggests greek origin but since food is not the study, scholars don't care about the documentation nor origin...music is same case...

Arabs translated and developed Greek texts and works of music and mastered the musical theory of the music of ancient Greece (i.e. Systema ametabolon, enharmonium, chromatikon, diatonon).[1]

https://www.youtube.com/watch?v=elERNFoEf3Y

Wednesday, July 22, 2015

Aristotle wa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authoritative ancient writers for the learned men of both arabs and europeans

The first Pseudo-Aristotelian works were produced by the members of the Peripatetic school which was founded by Aristotle. However, many more works were written much later, during the Middle Ages.[1] Because Aristotle had produced so many works on such a variety of subjects it was possible for writers in many different contexts—notably medieval Europeans, North Africans and Arabs—to write a work and ascribe it to Aristotle. Attaching his name to such a work guaranteed it a certain amount of respect and acceptance, since Aristotle was regarded as one of most authoritative ancient writers for the learned men of both Christian Europe and the Muslim Arab lands.[2] It is generally not clear whether the attribution to Aristotle of a later work was done by its own author or by others who sought to popularize such works by using his name.


https://en.wikipedia.org/wiki/Pseudo-Aristotle

"백제26대 聖王은 일본 ‘비타쓰천황’의 生父"


"백제26대 聖王은 일본 ‘비타쓰왕’의 生父" 백제와 일본왕실의 血緣 실체 규명
 
한일고대사의 전문가이신 홍윤기 교수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제와 일본왕실의 血緣 실체 규명
백제26대 聖王은 일본 ‘비타쓰왕’의 生父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의 [신찬성씨록] 고증, 기타 고대문헌 고찰
         홍윤기 한국외대 교양[일본사회와 문화]담당교수
                         문학박사/일본센슈대학 국문학과
                         왕인문화협회 회장
-------------------------------------------------------------
 필자는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일본속 백제왕국’의 비장 고대 일본 문헌들을 중심으로 문헌사학으로 고증하면서 그 실체를 규명하련다. 일본 고대 역사학의 태두(泰斗)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교토대 사학과 명예교수, 아시아사학회장, 1927~) 박사는 지금부터 31년 전에 일본 최초로 [백제 칠지도(七支刀)]가 백제왕으로부터 백제 식민지였던 “왜의 후왕(侯王)에게 하사되었다”([倭國の世界],1976)고 밝혀 일본 사회에 큰 파문을 던졌다.
 
 그 이후 우에다 박사의 자택(교토부 가메오카시)으로 과자상자를 들고 일본 국수주의 청년들이 밀어닥쳤다. 그들은 “우에다 박사님, 이번에는 과자가 들었지만 다음에는 다른 것이 들게될 것입니다”라는 협박을 받았다고 약 8년전에 우에다 박사는 필자에게 자택에서 말해주었다. “과자 대신에 상자에 다른 것이 들어있을 것”이란 무슨 뜻인가.
 
 또한 최근이다. 저명한 일본 고대사학자 이시와타리 신이치로(石渡信一郞/東京都立千歲高校 敎諭,1926~ ) 씨는 “저는 일본 문부과학성(교육부)으로부터 몹시 미움을 받고 있습니다”(2007.7.24)라고 필자에게 고백했다. 이시와타리 신이치로씨는 저서[구다라(백제)에서 건너 온 오진천황](百濟から渡來した應神天皇/2001)을 저술하여 일본 사학계에서 크게 주목 받고도 있다. 선진국을 자처하는 현대 일본에서 어째서 이렇듯 일본 사학자들은 학문의 자유를 유린당하고 있는 것일까.
 
 우에다 박사는 금년(2007) 봄인 지난 5월14일 자택에서 일본 국보급인 일본 고대 왕족과 귀족 족보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서기815년 일본왕실 편찬)을 필자에게 직접 꺼내서 보여주며 “제30대 비타쓰왕은 백제왕족입니다”라고 우리 일행 앞에서 증언했다. 일본 제30대 비타쓰왕의 생부는 백제 제26대 성왕이며, 비타쓰왕은 백제 제27대 위덕왕의 친동생이다. 백제 제24대 동성왕과 제25대 무령왕은 두 분 모두 일본에서 모국 백제로 귀국하여 백제왕이 되었다(‘일본서기’).


 
백제 제26대 성왕은 서기544년 신라군과 전투에서 사망한 것이 아니며, 이 당시 장남 창(昌)을 백제 제27대 위덕왕으로 계승시키고 일본 왕실로 건너갔다. 성왕은 이미 그 이전 서기539년부터 일본제29대왕을 겸임하고 있었다. 그러기에 일본왕실에서 서기794년 교토(헤이안경)로 새 왕도를 천도해왔을 때 성왕의 일본왕실 사당(平野神社)을 왕도 북쪽에 웅장하게 세웠으며 현재까지 성왕의 사당(京都市平野宮本町)은 잘 보존되어오고 있다(‘袋草子’ 1158).


 
 필자는 일본 고대역사 고증학자로서 일본 문헌들을 제시하며 이 글을 쓰기로 했다. 아울러 독자 여러분의 고견을 바라련다.
----------------------------------------------
일본의 백제인 ‘오진왕’의 직계 계보
----------------------------------------------
백제 곤지왕자→日本에 건너가서 日本의 오진왕이 됨(4C 후반경)
日本 닌토쿠왕(오진왕의 제4왕자)→형제간→日本왕실에 살던 무대왕/우시왕(뒷날의 백제24대 동성왕이 됨)
백제24대 동성왕(日本서 옴)의 왕자→백제25대 무령왕(사마)→친동생/日本의 남제왕/계체왕
백제25대 무령왕(日本서 옴)의 왕자→백제26대 성왕
백제26대 성왕→日本에 건너가서 킨메이왕이 됨(日本王을 겸임한 백제 성왕)
백제27대 위덕왕(성왕의 장남)→위덕왕의 친동생(성왕의 차남)이 日本의 비타쓰왕(‘신찬성씨록’이 입증함)

 ‘백제궁’을 짓고 살았던 비타쓰 왕과 그의 손자왕
 지난 5월14일 오전 10시경에 필자 일행은 일본 교토부의 한적한 도시인 가메오카(龜岡) 전원 지대로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댁을 심방했다. 이 날 우에다 박사는 조상 대대로 서재에 고이 간직하고 있던 일본에서 두 번 째로 오래된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815)을 꺼내다 필자에게 쥐어주며, 그 내용을 이모저모 상세하게 설명했다. [신찬성씨록]은 일본 고대의 왕도(王都)였던 ‘헤이안경’(平安京, 지금의 교토시)의 왕족과 귀족들 1182가문의 신분을 기록하여 입증해주는 중요한 역사 계보서이다. 이 역사서는 백제계 제50대 간무왕(781~806 재위)의 왕명으로 왕실에서 직접 편찬되었다.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는 우리 일행들에게 “홍교수는 저와 30년 간이나 한일간에 학문을 교류하고 있습니다”라고 전제하면서 [신찬성씨록]의 첫대목(第一帙)인 즉, 일본 왕도의 최고위 왕족(左京皇別) 항목들중의 가장 핵심이랄 수 있는 왕족 30개 가문들의 이름이 나열되는 대목을 펼쳤다. 그리고는 그 중의 하나인 12번 째의 [대원진인](大原眞人)이라는 왜왕실 왕족 가문의 대목을 손으로 짚었다. [대원진인]이라는 일본 왕족이 누구이냐고 하는데 관해서는 다음처럼 한자어로 그 내용이 또박또박 씌어져 있었다.
 
[大原眞人. 出自諡敏達孫百濟王也. 續日本紀合.]
 (대원진인, 그의 조상은 시호가 바타쓰<민달>이라는 백제 왕족이니라. [속일본기] 기록에도 부합한다).

  다시 풀이하자면, “대원진인의 조상은 일본 제30대 비타쓰(민달)왕이며 그는 본래 백제왕족이다”라는 고증이다. 이 귀중한 역사 문서는 [속일본기]라는 왕실 편찬 역사책(서기797년 왕실에서 성립)과도 내용의 사실이 부합된다고 확인마져 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대원진인’이라는 일본 왕족이 된 백제인 출신의 왕족 보다, 그의 친할아버지인 조부 제30대 일본왕인 “비타쓰(민달)왕은 그 출신이 본래 백제 왕족이다”라는 사실(史實)이다. 그러므로 민달왕의 후손인 지금의 일본 왕실도 백제왕족 비타쓰(민달)왕의 후손이며, 동시에 백제인들의 후손이라는 점에 변함이 없다.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는 [대원진인](大原眞人) 대목을 손으로 가리키면서, “비타쓰천황은 백제왕족 출신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라고 필자에게 단정해 말했다. 그 말을 듣던 우리 일행은 저마다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그것은 “비타쓰(민달)천황은 백제왕족”이라는 사실보다,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의 학문적 양심에 대한 뜨거워지는 존경심이었다.
 
 ‘일본서기’(서기720년 일본왕실 편찬)라는 역사책에 보면 “제30대 비타쓰(민달) 천황(敏達, 572~585 재위)은 나라(奈良) 땅에서 ‘구다라 오이궁’(百濟大井宮, 백제대정궁)을 지었다”는 대목도 나온다. 즉 비타쓰(민달)왕이 나라 땅의 백제인 집단 거주지인 ‘구다라오이’(百濟大井, 백제 대정)이라는 곳에다 왕궁을 지었다는 기사이다. 이것도 왜나라 비타쓰(민달)왕이 백제 왕족 출신이라는 것을 방증한다. 더구나 비타쓰(민달)왕의 친손자인 제34대 조메이(서명)왕(舒明, 629∼641 재위)도 나라땅의 “구다라강(百濟川, 백제천) 옆에다 구다라궁(百濟宮, 백제궁)과 구다라노데라(百濟寺, 백제사)라는 큰 가람을 지었다. 조메이(서명)왕은 구다라궁에서 살다가 서거했을 때는 ‘구다라노 오모가리(百濟大殯, 백제 대빈)’로 장례를 치렀다”(‘일본서기’)고 역사가 말해주고 있다.
 
 마유즈미 히로미치(黛弘道)교수는 ‘일본서기’의 조메이(서명)왕 대목인 죠메이기(舒明紀)의 주해(註解)에서, “여기서 말하는 빈소는 그 의식(儀式)을 성대하게 거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더구나 ‘백제대빈’이란 본국인 백제 왕실에서 거행해온 성대한 왕실 장례 의식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백제인들이 정복의 땅 왜나라에서도 ‘백제대빈’을 거행했다는 사실은 그당시 나라(奈良)땅을 지배한 한국인 왕가의 세력이 절대적이었던 것을 추찰케 한다.
 
 이 일본왕들이 백제인이라는 것은 부연할 여지도 없다고 본다. ‘백제 대빈’이란 백제 왕실의 3년상 장례로서, 백제 제25대 무령왕(501∼523년 재위)이 백제 왕도였던 곰나루(웅진, 공주) 지역에서 ‘백제대빈’ 3년상 장례를 치룬 것도 오늘의 충남 공주 무령왕릉에서 1971년 7월8일 출토된 무령왕의 ‘묘지명’에서 입증되고 있다.
 
 일본 고대 사학자인 세이조대학 사학과 사에키 아리키요(佐伯有淸) 교수는 비타쓰왕의 친손자인 “조메이(서명)천황은 생전에 ‘구다라 천황’(百濟天皇, 백제천황)이라고 불리었을 것이다”([新撰姓氏錄硏究], 1970년)라고 연구 발표해서 일본 사학계의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부연할 것도 없이 비타쓰(민달)왕과 그의 친손자 조메이(서명)왕이 생존시에 ‘백제왕’ 소리를 들었음을 사에키 아리키요 교수가 지적하는 것도 양심적인 학구 자세다.
 
 서기572년에 제30대 왜왕으로 등극한 비타쓰(민달)왕이 ‘백제대정궁’을 세운 오이(大井, 대정) 땅은 어느 곳인가. 그 터전은 지금의 나라현의  ‘고료초 구다라’(廣陵町 百濟)라는게 일본 사학계의 통설이다. 이곳에는 현재(2007.11) ‘구다라 우편국’(百濟郵便局, 백제우편국)도 영업중이다. 고료초 구다라(백제)의 땅 명칭은 현하 일본 정부의 ‘백제’라는 행정 지명(行政地名)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두 곳 중 하나이다. 현재 남아있는 또 다른 한곳은 교토시 동쪽의 ‘히가시 오우미시 햐쿠사이지초’(東近江市百濟寺町)다. 우리말로는 ‘백제사정’이다. 일본 최대의 비와코 호수 너머 히가시 오우미시 햐쿠사이지초의 스즈카산(鈴鹿山) 등성이에 지금도 우뚝 서 있는 유서 깊은 백제사 때문에 행정지명조차 ‘백제사정’이다. 이 사찰의 명칭은 ‘샤카산(석가산) 햐쿠사이지’(百濟寺, 백제사)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백제사를 일컬어 어느 곳에서나 ‘구다라 데라’라고 하는데 유독 이 사찰만은 ‘백제사’라는 한자어를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읽어 ‘햐쿠사이지’로 부르고도 있다. ‘데라’는 말은 평안도 시투리 ‘뎔'에서 ‘뎌르’로 발성이 변화된 것으로 본다. 6세기 말 일본에 건너갔던 고구려승 혜자(惠慈, 출생년 미상~622) 등 고구려 승려들의 ‘뎔'이라는 호칭의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1910년 일제의 조선 침략 이전까지만해도 일본 각지에는 ‘구다라군’(百濟郡)이다 ‘구다라촌’(百濟村), ‘구다라강’(百濟川) 나아가 ‘구다라대교’(百濟大橋), ‘구다라평야’(百濟平野) 등등 수많은 ‘백제’라는 행정 지명이 일본 오사카며 나라 등 각지에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4세기부터의 난바(難波, 오사카) 일대는 이미 ‘구다라스’(百濟洲)였다고 하는 것이 일본 고대 오사카 지도인 ‘팔랑화도’(八浪華圖)로서 알려져 온다. 이 지도는 11세기말인 서기 1098(承德二年)년에 처음 그려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지도의 원도는 지금부터 벌써 9백여년 전의 난바(오사카) 중심지대를 가리키고 있다. 지도에 쓰여진 지명 등도 ‘구다라스’(백제주)를 비롯하여 ‘난바지’(難波寺, 난파사), ‘구다라리’(久太郞里, ‘백제리’라는 이두식 한자 표기) 등등 현재(2007년)의 오사카 중심지의 지명들이 이미 그 당시로부터 오늘에까지 고스란히 이어져오고 있다. 더구나  그 당시의 ‘구다라 고우리(百濟郡, 백제군) 지역은 지금의 오사카시의 중심 시가지인 히가시나리구(東成區)며 이쿠노구(生野區) 또한 텐노지구(天王寺區) 등등 광대한 터전이다. ‘구다라 고우리(くだら こうり’의 “고우리는 한국어의 고을에서 파생된 말이다”(‘일본고어대사전’ 松岡靜雄 교수, 1937)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일본 제2의 대도시 오사카는 ‘구다라스’의 이름아래, 백제인 왕가에 의해 발전해 온 사실을 ‘팔랑화도’가 살피게 해준다. “오사카 중심지 일대는 ‘기타구다라손’(北百濟村, 북백제촌)?‘미나미구다라손’(南百濟村, 남백제촌) 등의 행정 구역 지대였다”(井上正雄『大阪府全志』1922). 그러나 오사카의 여러 가지 백제 관계 지명은 일제 치하에 행정 당국자들이 거의 모두 지금처럼 바꿔버렸다. 그러나 우리는 이 터전에서 ‘나니와쓰’(難波津, 난파진)의 지명을 최초로 그의 시가인 와카(和歌)로 지은 박사 왕인(王仁)의 위업도 다시금 음미해 보는 것이다. 지금의 오사카 중심 번화가 ‘난바’(難波)는 그 옛날 “왕인이 닌토쿠 천황(仁德, 5C)을 왕위에 천거하며 와카 ‘나니와쓰노우타’(難波津歌, 난파진가)를 자었다”(紀貫之『古今集』서기 805년 저술)는 왕인이 지은 지명 그대로이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로 접어든 후 계속 그런 '백제' 연고의 행정 지명들은 일제에 의해 각지에서 제거 개명되고, 현재는 두 곳만이 일본 정부 행정 지명으로 남아 있으나 과연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지  알길 없다.
 
 일본의 백제인 비타쓰왕, 그는 누구인가
 일본의 구다라(백제) 불교 문화는 6세기 초엽(538년)부터 일본 나라땅 아스카(飛鳥) 지역에 위치했던 백제계 왕실에서 서서히 꽃피기 시작했다(‘元興寺緣起’ 등). 일본에 백제 불교를 전파시킨 것은 백제 제26대 성왕(聖王, 523~554 재위)이다(‘일본서기’). 백제 성왕은 직접 일본을 넘나들었으며, 554년 이후에는 제1왕자였던 벡제 제27대 위덕왕(554~598 재위)에게 왕위를 계승시키고 완전히 백제를 떠나 나라땅 아스카에 건너가서 왜왕인 킨메이왕(欽明, 흠명왕, 539~571 재위)으로 군림했다(홍윤기 ‘일본 고대사 문제점의 새로운 규명’ [일본학]24집,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발행 논문집, 2005.12.). 일본사학자 고바야시 야스코(小林惠子) 씨도 “백제 성왕은 일본왕을 겸임했다”는 연구론을 펼쳤다(‘百濟王. 聖王は欽明天皇’1991).
 
 성왕의 조부왕인 ‘동성왕’(479~501 재위)과 성왕의 부왕인 무령왕은 두 인물 모두 백제왕이 되기 이전에는 왜왕실에 살고 있었다. 이런 사실이 [삼국사기] 등 우리나라 역사책에는 전혀 기사가 알려지고 있지 않다. 동성왕과 무령왕, 이 두왕은 각기 일본서 백제로 귀국하여 차례차례 백제왕으로 등극했다(‘일본서기’). 즉 성왕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백제계 왜왕실에서 살다 귀국하여 백제왕이 되었다는 사실만으로서도 백제 성왕이 왜왕실에 건너가 왜왕을 겸임할 수 있는 확고한 입지가 굳혀 있었던 것을 살피게 해준다.
 
 한가지 더 중대한 사실을 밝혀두자면 일본 고대 왕도 교토에는 왜왕실에서 직접 관장하는 백제 성왕의 큰 사당(‘袋草子’ 1158)인 히라노신사(平野神社, 서기794년 설립~현재)가 현재까지도 엄존하고 있다. 일본 고대의 역대 왜왕실에서 백제 성왕의 큰 사당 ‘히라노신사’에 제사드려온 사실은 10세기 초에 왜왕실에서 제정한 왕실 법도인 [연희식](延喜式, 서기927년 왕실에서 제정)에 그 명문이 실려 있다.
 
 이곳 성왕의 사당 히라노신사는 일본 고대의 백제계 제50대 간무왕(桓武, 781~806 재위)의 칙명으로 그 당시 새로히 천도해온 헤이안경(지금의 교토시)의 새왕궁 북쪽에 세웠다. “제50대 간무천황의 생모는 백제 무령왕의 왕자 순타태자의 직계 후손인 화신립(和新笠) 황태후입니다. 이 사실은 일본 왕실 역사책 [속일본기](서기797년 왕실 제정)에 실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에게도 한국과의 혈연이 있습니다”(2001.12.23.)라고 지금의 일본 아키히토(明仁, 1989 즉위~현재) 일왕이 그의 68회 생신 기자회견 석상에서 당당하게 공언한바 있다. 그러자 황거(왕궁)를 관장하는 궁내청 고관들이 매우 당황했다는 후문이다. 그 때문인지 이 날의 아키히토 일왕의 기자회견에 대한 각 신문 보도는 한국 혈연 관계 내용을 전혀 밝히지 않았다. 다만 그 사실을 보도한 것은 [아사히신문] 뿐이었다



http://saveilbe.com/4526689934

기모노는 백제의복이다

≪ 현 일왕의 스승 ≫




현 일왕의 스승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1927∼ ) 교토대학 사학과 명예교수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국보급인 고대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을 자택 서재에 보관하고 있다.

 우에다 교수는 “비다쓰 천황은 백제 왕족입니다” 라고 확언했다 ( 2004년 7월11일 )



현 일왕의 스승이 직접 천황은 백제왕족이랍니다 










大原眞人 出自諡敏達孫百濟王也

대원진인(오호하라 노마히토)은 민달(비다쓰 천황)의 손자로서 백제왕족이다.

- 신찬성씨록 -

敏達天皇元年 是月 宮于百濟大井 

비다쓰 천황 즉위 원년 백제대정궁을 지었다.

- 일본서기(日本書紀) -

...元年夏四月 是月 宮于百濟大井 

(비다쓰 천황) 즉위 원년 백제대정궁을 지었다.

- 부상략기(扶桑略記) -

舒明天皇十一年 七 秋七月 詔曰 今年造作大宮及大寺 則以百濟川側爲宮處 

서명천황(죠메이 천황)이 큰 궁궐과 큰 절을 지으라 명하니 백제강 옆으로 서쪽은 궁을 짓고 동쪽은 절을 지었다.

舒明天皇十二年 十月 是月 徙於百濟宮 

서명천황이 백제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舒明天皇十三年 十月丁酉 十三年冬十月己丑朔丁酉 天皇崩干百濟宮

서명천황이 백제궁에서 붕어하셨다.

舒明天皇十三年 十月丙午 丙午 殯於宮北 是謂百濟大殯 

궁의 북쪽에서 백제대빈으로 장례를 치뤘다.

- 일본서기 -


ㅋㅋㅋㅋㅋ 역시 백제의 식민지



제러드 교수.jpg

≪ 캘리포니아 대학 제러드 교수 ≫

USA캘리포니아대학 제러드 다이아몬드 교수'discover誌'1998년 6월호

「일본인의 뿌리」'고대 한국인의 선조가 일본의 원주민인 [조몬인],[야요이인(한국을 제외한 대륙민족)],

[아이누족]을 정복하므로서 일본이라는 나라를 탄생 시켰다.'
 
세계 문명사 탐구의 권위자 다이아몬드 교수의 정설



ㅋㅋㅋㅋㅋㅋㅋㅋ 건국마저 한국인 해준 나라 





우에다.jpg

≪ 미즈노 유우(水野祐) ≫

일본 역사학자 미즈노 유우(水野祐)는 그의 저서


 ‘일본 고대 국가 형성’(고단샤·1978)에서

최초로 일본을 지배한 천황은 백제인의 후손인 15대 오우진(應神·4세기)천황 16대 닌토쿠(仁德·5세기)천황 부자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오우진 천황이 백제 복식을 입었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나온다. 


이들 천황 부자에 의해 고대 일본의 가와우치(河內)왕조가 세워졌다고 주장
 


당연히 백제 왕족이니 백제 옷을 입는건 당연하지요 ^오^ 


18세기 고증학자 토우테이칸은, 고대논문 「일본결척」을 인용하여 

“응신왕 시대에 백제왕이 봉녀(縫女) 2명을 보내주어 비로소 임금과 신하들이 한복을 입게 되었다.

그렇지만 그때까지 서민들은 옷을 입지 않은 벌거숭이 모양이었다”



싀부럴 ㅋㅋㅋ 일본이 자랑하는 천황가가 옷도 안입고 살았다니 문화컬쳐 ㅅㅂ 





일본 교수.JPG

< 고바야시 야스코(小林惠子) 교수 >


'26대 게이타이 천황,백제 무령왕 친동생'


사스가 마이너 백제왕가 ㄷㄷ





일본 서기 암호.png

하야시 세이고(林靑梧)는 그의 저서 <일본서기의 암호>에서


 “일본 왕통 혈족의 만세일계(萬世一系) 세습제부터가 날조이며,
일본 개국왕은 김수로왕 후손임은 상식인데도 이를 부정,
징구왕후라는 유령을 내세웠다”고 밝혔다.


또 “임나일본부 설치를 날조했을 뿐 아니라
 오오진(應神)왕이 백제계 부여(夫餘) 후왕인 의라(依羅)이며,
 기토라 고분의 40대 텐무(天武)왕은 신라 김다수(金多遂)임에도 일본인으로 변조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랑스런 만세일계는 그냥 김수로왕 후손이였노? ㅋㅋㅋ



존 코벨.jpg

'일본 문화 훈장'을 받은
존 코벨(John Cater Covell,1910~96)여사
'일본의 신도(神道).. 日王의 뿌리..일본고분에서 출토되는 유물등...
한반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없다..놀라운 일이다.
심지여 1945년 8월15일 
日王이 자신이 타고 다니던 백마를 맥아더에게 넘기는 것으로
항복을 표현하는 것조차 한국식 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유물에서도 남아있는 고대한국의 향기 ^오^

심지어 항복방식마저 한국식 ^오^ 




도쿄대 교수.jpg

≪ 이노우에 미쓰사타(井上光貞) ≫

도쿄대 사학과 교수

 '일본은 고대 한국인이 세운 나라이다”(‘日本國家の起源, 1967)


마지막으로


갓본의 국가원수 아키히토의 모습



백제 왕족 후손04.JPG 

어릴때 



백제 왕족 후손05.jpg 

청년때 






백제 왕족 후손07.jpg



결혼식날 











백제 왕족 후손08.jpg



중년때 















백제 왕족 후손03.jpg



그리고 현재 







제일 성공한 한국인 아키히토(明仁)



진짜 못생기긴 했다 

 
 

http://saveilbe.com/4526689934

후지와라씨는 백제 가문이다.

일본속의 한류를 찾아서
'韓을, 韓을 모셔 오노라'… 백제의 神을 모시다

◇‘가스가대사’ 본전 입구.

일본 나라현 나라시 동쪽 미카사야마(三笠山) 산기슭 언덕받이(奈良市春日野町160)에 자리하는 사당 터전이 ‘가스가대사’(春日大社)이다. 이곳은 백제 왕족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조상 신주(神主)의 위패들을 함께 모시고 제사 지내는 큰 사당이다.

도쿄대학 건축사학과 오타 히로타로(太田博太郞) 교수는 “이 가스가대사 사당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614∼649)의 부인(鏡女王·가가미노 히메미코)이 남편의 제사를 지내려고 710년쯤에 세웠다. 부인은 나라땅에다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직접 불교 사찰 고후쿠지(興福寺, 奈良市登大路町)도 세웠다. 가스가대사 사당은 본래 춘추 두 번의 큰 제사(春日祭, 가스가 마쓰리) 때문에 크게 번창해 왔다”(‘국보중요문화재’ 1963)고 한다.

예전까지 가스가대사에서는 음력 2월의 상신일(上申日, 첫 원숭이날)과 음력 11월의 상신일, 두 번의 춘추 제사를 거행했기 때문에 ‘원숭이 마쓰리’라고도 통칭했었다. 그러나 1886년부터는 해마다 3월13일에 가스가 마쓰리 제사를 지내게 됐다. “이 제사는 후지와라 가문의 큰 제사여서 성대하게 거행하며, 반드시 일본 왕실의 조정에서 칙사(勅使)로서 가스가사(春日使)를 제사지내는 사당에 보내 신주에게 폐(幣)를 바쳤다.(奉幣)”(東京堂版 ‘연중행사사전’ 등)

그런데 가스가 마쓰리 제사의 형식과 내용은 지금도 일본 왕실(도쿄 황거의 궁중 삼전)에서 해마다 11월23일 초저녁에 거행하는 왕실 제사인 ‘니나메사이’(新嘗祭, 鎭魂の儀)와 똑같기에 주목된다. 왕실의 니나메사이에는 일왕이 직접 제주로서 왕실의 궁중 삼전(賢所皇靈殿神殿)의 제사 전당에 참석하며, 여기서 백제신 신주(神主)를 모셔오는 축문인 ‘가라카미’(韓神)를 낭창한다.

‘미시마(三島) 무명 어깨에 걸치고 나 한신(韓神)은 한(韓)을 모셔 오노라, 한(韓)을, 한(韓)을 모셔 오노라’는 것이 축문의 첫머리 부분이다. “궁중의 니나메사이 제사 때의 제사 집행관으로는 조정의 좌우 두 대신(大臣)이 차례로 목청을 돋우며 ‘한신 축문’을 노래 형식으로 길게 낭창했다.”(臼田甚五郞 ‘神樂歌’ 1992)

교토대학 사학과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교수는 “일본 왕실 궁중 제사에서 모시는 한신(韓神)은 ‘백제신’이다”(‘神樂の命脈’ 1969)고 일찍이 밝혔다. 우에다 교수는 또 “미시마(三島) 무명이란 백제신의 신주를 모신 사당 터전에서 짠 신성한 무명이며, 조상신에게 귀중한 폐(幣)로서 제사상에 무명천을 바치는 폐백(幣帛)이다”고 지난 4월13일 필자에게 말했다. 현재 오사카(다카쓰키)에는 고대(5C)에 일본 왕실로 건너온 ‘백제신’을 신주로 모신 사당인 ‘미시마카모신사’가 있다.(연재 제57회 참조)

◇가스가대사의 왕족들.

여기서 더욱 주목할 만한 사실을 밝혀둔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일본 왕실 제사인 ‘니나메사이’와 백제왕족 후지와라 가문의 가스가 마쓰리와 더불어 삼위일체를 이루는 일본 왕실의 궁중 제사는 한신제(韓神祭, 가라카미노 마쓰리)라는 점이다.

한신제는 백제계의 제50대 간무천황(桓武·781∼806 재위)이 794년 헤이안경(지금의 교토시 터전)을 창설하면서 왕궁 북쪽에다 세운 백제신의 사당 한신사(韓神社)에서 거행하던 백제신 제사이다.(‘延喜式’ 927) 이상의 3가지 제사의 연관성에 관해 고쿠가쿠인대학 니시쓰노이 마사요시(西角井正慶) 교수는 이렇게 밝혔다.

“가라카미노 마쓰리는 고대부터 왕실(궁내성)에 모셨던 가라카미(韓神) 사당의 제사이다. 이 제사는 가스가 마쓰리 뒤인 2월(음력) 축일(소날)과 니나메사이 전인 11월(음력) 축일(소날)에 지냈다.”(‘韓神祭’ 1958)

일본 고대사에 등장하는 대정객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를 모르고는 일본 역사를 논할 수 없다.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큰 인물이기에 그가 백제인 왕족이라는 사실을 일본 사학자 대부분이 쉬쉬해 온 것 같다. 저명한 사학자 오와 이와오(大和岩雄)는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백제인이다”(‘古事記天武天皇’ 1980)고 밝혀서 주목받았다.

◇부적을 사서 행운을 점치는 사람들.

오와 이와오는 후지와라노 가마타리의 아들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는 백제계 귀화인에게 주어진 왕실 고관 벼슬인 ‘후히토’(史) 그룹과 관계가 있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백제인 계통의 후히토(史)라는 벼슬아치들을 들자면 다나베노 후히토(田史)를 비롯해 후미노 오비토(書首), 후네노 후히토(船史) 등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후히토 그룹의 일원으로 성장한 뒤, 당시 정계 최대 권력자가 됐던 후지와라노 후히토는 후히토라는 벼슬아치의 명칭을 후히토(不比等)라고 그 글자 자체를 바꾸었다. 후지와라노 후히토는 어려서 백제인 고관 다나베노 후히토 가문에서 양육받았다.”(‘新羅蕃國視について’ 1978).

또 구리사키 미쓰호(栗崎瑞雄)는 “백제인들의 후히토(史) 그룹이란 어린 날의 후히토(不比等)를 길러준 다나베노 후히토 오스미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으로, 다나베노 후히토 오스미는 백제 귀화인 그룹의 리더였다”(‘本人麻呂’ 1981)고 했다.

◇경내에 이르는 연도에 줄지은 크고 작은 석등들.

마쓰모토 세이초(松本淸張)는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조선 귀화인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본래 성명은 나카토미노 가마코(中臣鎌子)였던 것을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로 성씨와 이름까지 바꿨다. 그것을 보더라도 나는 그가 귀화인 계통의 관료였다고 본다. 이름에 ‘타리’(足)가 붙는 것은 조선 도래인 계통에서 많이 볼 수 있다. 7세기경의 ‘일본서기’에 나타나는 인명들을 보면 거의 다 귀화인 계통의 인물이다.” 나카토미노 가마코가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로 개성명한 것은 백제 멸망 당시 2만7000의 백제 원군을 일본 규슈에서 백제땅으로 보냈던 일본 제38대 덴치천황(661∼671 재위) 8년(668년) 10월의 일이었다. 그때 후지와라노 가마다리는 “조정의 최고 대신으로 임명받았다.”(‘新皇正統記’)

그렇다면 가스가대사 사당의 최고 신주(神主)인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구체적으로 백제계의 어떤 인물인가. 815년에 일본왕실에서 편찬한 왕실 족보인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에 보면 일본 왕족들(左京皇別) 중 제18번째 인물로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가문의 가스가노 마히토(春日眞人)가 등장하고 있다.

이 가스가노 마히토는 일본 제30대 “비다쓰(敏達)천황의 황자(皇子)인 가스가왕(春日王)의 후손이노라”고 한다. 즉 후지와라노 가마타리는 다름 아닌 “백제 왕족 출신의 비다쓰천황”(‘신찬성씨록’)의 후손이다. 그는 백제왕족인 동시에 고대 일본 왕족이다. 그와 같은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은 가스가대사의 제사 양식이 일본 왕실 제사(신상제)며 헤이안경 왕궁의 가라카미(한신) 제사와 동일한 것뿐에서만은 아니다.

일본 교토에 있는 백제 제26대 성왕(聖王)의 일본왕실 사당 ‘히라노신사’(神社)에서 거행하는 제사(‘延喜式’)인 ‘히라노 마쓰리(平野祭)와도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도 주목된다. 백제 성왕의 일본 왕실 사당 히라노신사에서는 근년에 새롭게 제작한 ‘히라노황대신’(平野皇大神)이라는 편액을 정문(도리이)에다 드높이 내걸었다. ‘황대신’이란 일본왕 큰 신령이라는 뜻이다. 즉 성왕은 일본 왕실의 큰 신주라는 것을 밝힌 셈이다.

◇본전에 이르는 장중한 회랑.

“백제 제26대 성왕은 일본 제29대 긴메이천황(欽明天皇)을 겸임했다”(小林惠子 ‘百濟王, 聖王は欽明天皇だつた’ 1991)는 것과 맞물려 백제 성왕(긴메이천황)의 제2왕자였던 일본의 비다쓰천황(572∼585 재위)을 뒤잇는 백제인 왕족이 다름 아닌 후지와라노 가마타리임을 살피게 해준다. 성왕(긴메이천황)의 제1왕자는 백제 제27대 위덕왕(威德王·554∼598 재위)이다. 그래서인지 가스가대사의 엄청난 사당 규모의 크기와 더불어 경내로 이르는 연도에 줄지은 크고 작은 석등들은 자그마치 1200여개에 이른다.

여기에 덧붙여 오사카부(히라카타시)의 백제 왕족 삼송가(三松家)의 사당인 ‘백제왕신사’(百濟王神社)와도 후지와라노 가마타리의 신주를 모신 가스가대사가 직접 연관되어 있어서 백제인 왕족들이 고대 일본에서 ‘백제계 일본 왕실’을 구성하며 활약한 백제인 왕족들의 종횡으로 면밀한 연결고리도 주목할 만하다.

그런 구체적인 실례는 삼송가의 사당이 있는 히라카타시의 “백제왕신사의 본전 건물은 본래 나라땅 가스가대사의 구전(옛신전) 건물을 옮겨온 것”(井上正雄 ‘大阪府全志’ 1922)이라는 것으로도 살피게 한다. 그러므로 삼송가하고 후지와라 가문도 서로가 똑같은 백제 왕족의 핏줄이라는 것을 여기서도 말해주고 있다.

 

 

Friday, June 12, 2015

Nadal can't beat Federer on fast surfaces comment

gokcal 1년 전 Johnny McNugget님에게 답장
Yeah, it means that Nadal even at his very best cant beat Federer on a true fast court where the real tennis is played (or used to be played). If they hadnt slowed down Wimbledon at 2001 and all the hard courts after 2007, Nadal couldnt have won any other slam than French and Federer's domination over tennis would be much more wider and longer.
 

Thursday, June 11, 2015

fayum art depict valued greek noble people worth of the painting from the worth of the board

New Faces from Egypt: Hellenistic Panel Paintings and their European Consequence

2012-04-19 New Faces from Egypt: Hellenistic Panel Paintings and their European Consequence
Open to the Public
Date
Location The Institute of Fine Arts, NYU, at 1 East 78th Street

Among the Greeks and Romans, the most highly esteemed paintings were executed on framed wooden panels. So valued were they that lawyers distinguished the worth of the painting from the worth of the board. Due to the perishability of wood, this great body of ancient painting has remained a lost chapter in the history of art. However, a new project directed by Thomas F. Mathews has assembled a corpus of over sixty panels, complete or fragmentary, mostly from the first to third centuries CE, from sites in Egypt, languishing unstudied in museum basements across the world. These works, preserved by the sands of Egypt, offer a remarkable window into pagan religious production both before the rise of Christianity and contemporaneously with it. This joint discussion by Professor Mathews and Elsner will explore how the pagan panels pose many of the same problems both philosophically and in terms of cultic usage, demonstrating models which were appropriated by Christian culture as well as patterns of imagery which were specifically rejec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Institute of Fine Arts, NYUNY
Part of "Research at the NYUAD Institute"
Jas' Elsner Humfrey Payne Senior Fellow in Classical Archaeology and Art, Corpus Christi College, Oxford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of Art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Thomas Mathews John Loeb Professor Emeritus in the History of Art, Institute of Fine Arts, NYUNY


http://nyuad.nyu.edu/en/news-events/new-york-city-events/2012/04/new-faces-from-egypt.html

fayum art is depicting greek settlers my comment

It's also well known fact that Crocodilopolis potraits are greek art which depicted Greek settlers in Crocodilopolis you liar. you already know this but avoid to state it to fabricate your germanic barbarian identity!!!

 The Fayum portraits are a collection of 1st to 3rd century portraits made up of Ptolemaios Greek colonists of ancient Egypt. These colonists settled in cities like Alexandria after the conquest of Egypt by Alexander the Great and its subsequent rule by Greek Kings. Egypt at that time was part of Greece and it was the main city of Greece. The sculptures are from mainland greece. Greek Art always potraits black hair and black eyes in any period.
here is the oldest period of greek art

http://commentsreference.blogspot.com/2015/06/greek-art_11.html

Greek Civillization literally never even have anything to do with Germanics barbarians(not german). ancient greek historian always write blonde hair and blue eyes are exotic traits of northern barbarians and greeks have black hair and black eyes.


even you guys have no interest in greek histo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history in human history and know nothing about it when you guys need to study greek history very hard because if you have even basic knowledge of greek history you learn in middle school, you should have seen numerous greek arts and never say such weird nonsensical bullcrap...!!!

you thief germanic person stop trying to steal greek civillization!!!


all crocodilopolis arts are showing greek settlers...Its the fact...you cannot deny the fact you already know you liar...of course they look greek not egyptian because they are greek not a single people here look egyptian althought egyptian people look greek because egyptians and greeks have same root....just to lie about race and you are not even interested in greek history...those are from greek cemetries....Its style and drawing technique is greek. you can clearly see the greek crown on their head which only noble greek people wear on head. the drawer was famous greek painter cyzikus. there is no reason to draw egyptian who are normal people instead of noble greeks who came to rule the egypt...drawing is for noble people so of course they draw noble greek rulers and in other profession. think otherwise is nonsensical.

I will give you one of many examples. look at this drawing

http://commons.wikimedia.org/wiki/Fayum_mummy_portraits#/media/File:Fayum-66.jpg

 He is famous Artemidorus, a greek professional diviner from Daldis, Greece. Ephesius was a professional diviner who lived in the 2nd century. He is known from an extant five-volume Greek work, the Oneirocritica or Oneirokritikon  He settled in philadephia of crocodilopolis, Egypt.

here is what encyclopedia of egypt says. 'The Fayum portraits are a collection of 1st to 3rd century portraits made up of Ptolemaios Greek colonists of ancient Egypt. These colonists settled in cities like Alexandria after the conquest of Egypt by Alexander the Great and its subsequent rule by Greek Kings.'

the example you gave me is the first greek art you ever seen and is good example of greek people being greek with black hair and black eyes...

I already said I posted greek art of earliest period. how can minoans be hellenes when hellenes are the descendants of minoans. are you stupid?!? Do you say vikings were not swedish?!? of course they are not swedish but the swedish is ancestor of vikings.  one of the  I already showed you many sculptures from hellenic period also in first example.

what do you mean european?!? northern barbarians  never were europeans in ancient greece. europe, asia, africa are the term to refered to the different regions of same greek world, south europ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here same greek race were living in ancient original meaning...

fayum art has greek name and are from greece to settle in egypt. Artemidorus was a professional diviner who lived in the 2nd century. He is known from an extant five-volume Greek work, the Oneirocritica or Oneirokritikon

Fayum mummy portraits
[x] Wikimedia Commons 한국어 로 보기
From Wikimedia Commons, the free media repository
Jump to: navigation , search
The Fayum portraits are a type of realistic painted portraits on wooden boards attached to Egyptian mummies from Roman Egypt.

In The UK[edit]

British Museum (London)[edit]

Petrie Museum (London)[edit]

Windsor, Eton College, Myers Collection[edit]

Ashmolean Museum (Oxford)[edit]

Royal Museum of Scotland (Edinburgh)[edit]

In Russia[edit]

Pushkin Museum (Moscow)[edit]

Total - 22

In Germany[edit]

Ägyptisches Museum = jetzt Neues Museum (Berlin)[edit]

Antikensammlung im Neuen Museum (Berlin)[edit]

Staatliche Antikensammlungen (Munich)[edit]

Kestner Museum (Hannover)[edit]

Ägyptisches Museum (Leipzig)[edit]

In Austria[edit]

Kunsthistorisches Museum (Wien)[edit]

In Poland[edit]

National Museum (Warsaw)[edit]

In Italy[edit]

Museo archeologico di Firenze[edit]

In France[edit]

Louvre (Paris)[edit]

Musée des Beaux-Arts de Dijon[edit]

In Denmark[edit]

Ny Carlsberg Glyptotek (Copenhagen)[edit]

In the United States[edit]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edit]

Brooklyn Museum (New-York)[edit]

Albright-Knox Gallery (Buffalo)[edit]

Cleveland Museum of Art[edit]

Getty Museum (Los Angeles)[edit]

Menil Collection (Houston)[edit]

Milwaukee Art Museum, Wisconsin[edit]

In Egypt[edit]

Egyptian Museum (Cairo)[edit]

Location not indicated[edit]

Women[edit]

Men[edit]

Blog Archive